초록 열기/닫기 버튼

바타이유의 소설은 기본적으로 에로티즘의 우화인데, 이 점에서 『눈이야기』와 함께 바타이유 문학을 대표하는 「마담 에드와르다」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 「마담 에드와르다」는 성적 유희를 이야기하는 ‘놀이의 글쓰기’로 읽히기도 하지만 이 성적 유희가 글쓰기를 은유한다는 의미에서 ‘글쓰기의 놀이’로 읽히기도 한다는 점이 이채롭다. 본 연구의목적은 「마담 에드와르다」의 주요 등장인물인 일인칭 주인공 ‘나’와 마담 에드와르다가 벌이는 성의 유희가 글쓰기의 도구, 언어의 자율성,주체의 상실 등을 상징할 수 있는 가능성, 즉 「마담 에드와르다」의 중심서사가 ‘글쓰기’ 그 자체를 은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네 장(章)으로 구성되는데 네 장(章)은 각기「마담 에드와르다」가 기본적으로 드러내는 스토리가 무엇인가, 그 스토리가 ‘글쓰기’를 은유하고 있는가, 그 스토리에서 글쓰기의 매체인 언어가 누리는 위상이 무엇인가, 그 스토리에서 글쓰기의 주체가 지니는존재론적 지위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모색한다. 연구의방법론적 근거는 주로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가 브라이언 피치와 글쓰기 연구의 선구자 모리스 블랑쇼에게서 얻고 있다. 결론의 초점은 「마담 에드와르다」에 대한 다의적 해석의 하나로서 시도한 글쓰기의 은유연구가 문학이란 결국 바르트가 말하는 의미에서의 ‘사랑스런 함정’임을 알려준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데 있다.


Georges Bataille’s novels basically recount an eroticism, and Madame Edwarda—one of Bataille’s most representative works—is no exception. The present paper seek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sexual play between the novel’s two main characters—the first-person narrator and Madame Edwarda—can be interpreted as a metaphor for the act of writing,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which include instruments of writing, autonomy of language, loss of ego, etc. This paper is composed of four sections, which respectively seek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in order : what constitutes the story of the novel ; does the story as a whole symbolize the act of writing ; what status is conferred to language as a medium of writing ; what ontological standing does the author,the agent of the act of writing, assume in the story. The rationales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 being employed in the present paper are found mainly in Brian T. Fitch and Maurice Blanchot. As a conclusion, it is emphasized that the present study, which looked at Madame Edwarda as a metaphor for the act of writing, has led us to acknowledge the aptness of Roland Barthes’s assertion that literature is a “lovely t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