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열풍은 여전히 식을 줄 모른다. 신작『1Q84』(2009)는 일본에서 발매 2개월 만에 200만부가 팔렸고, 한국에서도 출간 즉시 소설부문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이처럼 하루키의작품들은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 각국에서 번역을 통해 널리 읽히고 있으며, 끊임없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처녀작『바람의 소리를 들어라(風の歌を聞け)』로 1979년에 군조(群像)신인상을 수상한 이래, 노마(野間)문예신인상(1982), 다니자키쥰이치로(谷崎潤一郎)상(1985), 요미우리(読売)문학상(1996) 등 일본 유수의 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하루키는,2006년에 프란츠 카프카상을 수상하면서 차기 노벨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상실의 시대』『해변의 카프카』등으로 국내에서도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하루키의 작품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읽히고 있으며수용되고 있는지는 흥미로운 과제라 하겠다. 한국인 독자들의 대다수는 번역을 통해서 그의 작품과 만나고 있는데, 한국어 번역을 통해 하루키 작품의 특징과 주제는 충분히 전달되고 있는지도 한 번쯤 진지하게 짚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2005년에 발간된『도쿄기담집(東京奇譚集)』에 수록된 단편「하나레이 만(ハナレイ・ベイ)」의 작품분석을 통해 이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東京奇譚集』은 발매 직후 아마존 재팬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인기였으며, 하루키 단편의 특색을 잘 나타내주는 작품집으로 평가받고 있다. 5편의 이야기가 수록된 이 단편집에서 특히 이채를 발하는 것이「하나레이 만」이다. 하루키는 ‘가족’ 을 그린 작품들이 거의 없는데, 「하나레이 만」은 하와이에서 비극적인 사고로 하나 뿐인 아들을잃은 어머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비탄과 통곡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수많은 문학작품과 회화, 조각 등을 통해 형상화되어 왔다. 이 보편적인 주제를 매우 현대적이며 하루키 특유의 건조한 문체로 그려낸 것이「하나레이 만」이다. 하루키 작품의 특징으로 ‘가벼움’ 을 들 수 있는데, 그 이면에 놀라운깊이를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하나레이 만」의 내용 또한일상의 디테일을 가벼운 필치로 그려내는 데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벼움의 배후에는 늘 그렇듯이 ‘상실’ 이라는 무거운 정신적 상흔이자리잡고 있다. 수시로 언급되는 음악에 관한 이야기들도 작품의 주제와 유기적인 연관을 가지며 절묘하게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루키 특유의 문체와 문학적 장치, 그리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며 정교하게 구축된 언어공간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작가가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키워드와,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와 표현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작가가 특유의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는 어머니와 아들의 이야기를, 번역의 문제와 함께 살펴보았다. 단어하나하나에 담겨진 뜻이나 행간의 의미를 읽어내는 작업이 뒷받침될때, 하루키 문학의 폭이 얼마나 넓어질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계기가되었다고 생각한다.


Murakami Haruki's novels are widely read in Korea and are constantly gaining attention. All of his major novels, as well as most of his essays and minor works have been translated and his recent work 1Q84 (2009) has ranked top on the best seller list immediately after it's publication. The popularity of this Japanese novelist in Korea is quite exceptional and, in a sense, ‘phenomenal’. Most of the Korean readers get in touch with his novels through translation. Considering his influence not only on the young generation but also on the literary world, it is significant to examine how his novels are introduced and translated - to what extent the themes and his characteristic style of writing are transmitted when it is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This paper aims at elucidating these subjects by means of a specific analysis of one of his short stories, ‘Hanalei Bay’, included in Tokyo Kitansyu (2005). Tokyo Kitansyu is recognized as a book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urakami's short stories. ‘Hanalei Bay' is a story of a mother who lost her only son in a tragic accident in Hanalei Bay, Hawaii. Sachi's nineteen year old son had been attacked by sharks while surfing and had drowned from the shock. The story starts by relating Sachi's first visit to Hanalei and her encounter with the people there. After his death,she spends her life visiting the place of his tragic death every year. She would arrive a few days before the anniversary of her son's death and stay three weeks, watching the surfers from the beach. After more than 10 years of repeated visits, she meets two young Japanese who had come to Hanalei to surf, just as her son had done years ago. She happened to give them a ride, and their encounter leads her to a new re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her son. ‘Hanalei Bay’ is a tragic story of a mother and son. However, on the surface, the writer does not depict her grief or give any explanation of how she felt, or of her inner dismay and sorrow. The story concentrates on the depiction of the common details of her daily life in Hawaii and Tokyo. Indirect suggestions, allusions, and some key words that he repeats help the reader surmise her inner self and her relationship with her son. As is typical in Murakami's works, music gives critical clues that help unravel the theme of the story. It is necessary to read between the lines to grasp and understand what the writer tries to articu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