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덴마크 희곡작가 리네 크누트손 Line Knutzon(1965) 은 최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가장 촉망받는 젊은 극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녀의 작품들은 주로 블랙 코미디와 부조리극의 특징을 띠며, 사무엘 베케트의 신랄함을 닮았고 매우 혁신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신의 고향인 덴마크뿐 아니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커다란 인기를 거둔 이후, 이제는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극작가로 급부상했다. 본 논문은 크누트손의 희곡들에 나타나는 중심테마가 무엇인지 고찰하고 있다. 크누트손의 작품들은 일련의 독특한 테마들을 통해서 기본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는데, 그녀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테마와 모티프 및 인물형상 등을 탐색하는 것은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공시적 통시적 문학 연구를 위해 커다란 의의를 지닌다. 그뿐 아니라 중심적 테마(주제)와 모티프를 면밀히 탐색함으로써 본 연구는 작품해석의 열쇠나 근거를 삼을 수 있음은 물론, 크누트손의 작품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나 인지적 특수성의 발견을 통해서 개별적인 작가 연구를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크누트손의 희곡에 나타나는 세 가지 중심 테마는 ‘만남’, ‘정체성’과 '유년의 기억'이다. 크누트손의 작품에는 여러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서로 다른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이들은 하나의 같은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로 인식될 만큼, 여러 면에서 교차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세 가지 중심 테마는 크누트손의 작품의 해석을 위한 주요한 열쇠가 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크누트손의 초기 다섯 작품을 선택하였다. 이들 작품들을 통해서 크누트손의 희곡에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과 성격을 파악하고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mes in Line Knutzon’s dramas. In order to examine the themes in her dramatic works, it is suggested that Gunnar Brandell’s definition of thematic unity that consolidates an author’s several plays into one unity. In Knuzon’s dramas, three major themes come down to ‘the encounter’, ‘identity’ and ‘childhood’. These themes make the plays perceived as one and the same although each of the work is different ones.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se themes go into a more cohesive whol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author’s analogy to express in the plays. Line Knutzon writes about the people who no longer fit into the society in which they still expected to participate in. Line Knutzon effectively expresses her political struggle in the plays for the poor, the outcasts, and the trouble, to search the identities in a society, a civil right to be what they are. Her plays are a counterforce to an increasingly harsh climate, in which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openness toward the outside and the prevalence of alienation and lonelin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rallels in Knutzon’s dramas and takes examples from the five chosen plays: Splinten i hjertet, Det er så det nye, Først bli'r man jo født, Snart kommer tiden, Den luft andre indånder. ‘The encounter’ appears to be the most critical feature that blows life into the characters of the works. It is evident that the one’s identity, the character’s the issue of being aware of itself, is very crucial in Knutzon’s dramatic works. This essay clarifies her ways how the identity issues manifest themselves in the dramas. The gender issue, being a male or a female, leads to the characters’ dilemmas and existential questions. The last of the main themes in Knutzon’s plays is the childhood. It shows that the childhood haunts people like dark clouds, struggling with difficulties to let the past go to move on with the life. The lack of adult role models in the childhood concludes in the quest for meaning of life, love and identity. It is possible to discern a pattern in the three themes going in and out each other so that these components’ mutual influence determines individual’s dilemmas and existential ref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