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essay seeks to explore the idea of Greece as inspiration for poetry in the works of Friedrich Hölderlin, Martin Heidegger, and John Keats. More specifically, I will deal with Hölderlin’s hymn “Greece” (Griechenland), Heidegger’s elucidations of the poem, and Keats’s poem “Ode on a Grecian Urn,” focusing on the role of Greece in poetic articulations of beauty and truth. While Hölderlin, Heidegger and Keats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ir backgrounds in the intersections of Greece, Germany, and Great Britain, their works exhibit a similarity regarding the idea of Greece and poetic truth. They all try to incorporate ancient Greece into their notions of poetry and art. Regardless of their cultural differences, the idea of Greece equally serves as the frame of reference to reinforce the creative imagination as well as the self-reflexive medi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alterity. Both Hölderlin and Heidegger regard ancient Greece as the oriental that defines modern Germany as the occidental; Keats finds an ideal conjoining of beauty and truth in his poetizing of Greek art. The poetic dialogues between Greece and Germany as well as between Greece and Britain similarly entail the linguistic revelation of truth and beauty that relies mostly on the imagination. I argue that Hölderlin’s pursuit of human destiny, Heidegger’s claim for truth as the unconcealment of Being, and Keats’s poetizing art address creative susceptibility to Hellenic influence. Yet Greece remains irreducibly foreign, or as the idea, rather than the reality for Hölderlin, Heidegger and Keats; the foreignness of Greece constitutes the very formation of German identity and English poetry alike.


본 논문은 독일 서정시인 프리드리히 훨더린,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와 영국 낭만주의 시인 존 키츠를 비교 연구하여 이들이 공통으로 천착하는 이상으로서의 그리스와 시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훨더린의 찬가 「그리스」, 이 시에 관한 하이데거의 해명(解明), 그리고 키츠의 「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노래」를 중심으로 이들이 구축하는 그리스라는 개념이 각각의 시(학)에 강렬한 영향을 주는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19세기 초와 20세기 초의 독일 및 19세기 초의 영국이라는 너무나 다른 시/공간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훨더린, 하이데거, 키츠는 모두 고대 그리스 및 그리스 예술을 바탕으로 하여 각자의 시학을 창조적으로 발전시킨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훨더린과 하이데거는 그리스 문학과 철학을 독일식으로 번역하고 그리스를 독일의 외국, 독일이라는 서양을 규정하는 동양으로 설정함으로써 독일인의 역사의식에 관한 진지한 명상을 보여준다. 훨더린은 빛으로 가득한 자연 속에 사는 그리스인을 특징짓는 부드러움과 사색하는 힘에서 시적 영감을 받아 「그리스」에서 영혼, 자연, 신, 인간의 조화로운 어울림을 노래함으로써 이와 같은 시적 감수성을 독일인들에게도 전하고자 했다. 하이데거는 모든 예술의 본질이 시라고 밝히면서, 외국과의 필연적인 역사적 만남 뒤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존재에 대한 낯선 편안함에 도달할 수 있고, 이는 시를 통해 성취할 수 있다는 시적 사유를 전개한다. 키츠는 그리스 항아리에 새겨진 문양을 보고 그리스인의 경험을 상상해 보고서 입체적인 항아리를 평면적인 영국시로 번역함으로써, 시적 언어로 항아리의 침묵을 깨고 미와 진리의 선언에 동참한다. 이들은 그리스를 이상적으로 개념화하고 외국 문화를 창의적으로 수용하여 자국의 문학 및 철학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