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독서나 심미비평 등 문학관련 소통행위는 텍스트를 중심축으로 이루어진다. 텍스트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작가의 작품구상 단계에서 작성된 몇 개의 단어에서부터 시작해 초고가 완성되고 그 후 인쇄과정을 거쳐 한 권의 책으로 완성되며, 그 후에도 출간을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변모하는 과정 속에 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지학자들은 텍스트를 “정체적인 현상이 아니라 역동적인 현상”으로,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진행 중인 과정”으로 이해한다. 대부분의 텍스트는 손상되어 있다. 텍스트가 “시간이 흐르는 과정에서 텍스트에 뚜렷한 흔적을 남기는 매우 다양한 심급의 흔적을” 지니기 때문이다. 특히 19세기 이전 작품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인쇄과정에 참여한 필생, 식자공, 교정담당자, 편집자 등에 의해 오염된 텍스트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판본이 존재하는 작품의 경우 출판사나 편집자는 출간을 위해 한 판본을 선택해야만 한다. 만약 “최종본 원칙”에 의해 작가가 만년에 수정해 놓은 텍스트를 기준판본으로 선택했다면 등단 시기 작가의 신선하지만, 거친 특성들이 인쇄된 텍스트 속에서는 사라지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서지학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텍스트” 제공을 목표로 텍스트 비평학을 발전시켰다. 비평이라는 개념은 텍스트의 생성 ․ 전승과정에서 생성된 텍스트 전달매체들을 파악하고, 생성사와 전승사를 밝혀내며, 이 과정에서 생긴 변화를 조사 ․ 분석해, 오류에 의한 텍스트 손상을 제거하고, 의미 있는 텍스트변화를 조사, 기록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거쳐 텍스트 비평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해당 작품의 ‘역사 ․ 비평본’의 발간이다. 본 논문은 텍스트 비평과 관련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국내 문학계에 서지학(편집문헌학)의 중요성과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텍스트 비평의 이론과 실제 작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를 시도할 것이며, 이어 출판과정과 서지학자(편집문헌학자)들의 구체적인 작업을 고찰할 것이다.


The heart of literary communication beats in the text of the author. Far from being fixed, the text finds itself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s, which is why it is to be understood not as a static but dynamic phenomenon, meaning "a work in process". However, in this process, the author's original is likely to be rather easily contaminated by other participating people such as scriber, compositor, proofreader etc. Consequently, it is very important for literary criticism to have an authentic text to present, and for this very reason, the literary studies in European countries, England and Germany in particular, developed the academic discipline termed "textual criticism/textkritik"These bibliographic studies examine the textual process, in which various editions of textcarriers(textträger) are generated. In concrete textual criticism are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To excavate all surviving 'textcarriers' such as memo, sketch, handwriting, manuscript, autograph and copy-text. 2. To analyze all collected textcarriers not as conceptual but physical objects, such as forme, printing type etc. 3. To track down all manners of changes the text underwe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eliminate detected errors( the so-called 'text-washing'): correction and revision by author, clerical errors by scriber, compositor, proofreader etc. 4. Records are to be kept of all significant alterations for comparison between texts 5. The genealogical history of the textcarriers is to be re-constructed through a genetic approach to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