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난 북경의 의미와 동아시아의 미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제말기 반제국주의의 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이 발표되었던 1941년은 태평양 전쟁이 발발되기 직전으로 일본과 조선에서는 어떤 저항세력도 활동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김사량은 작품의 배경을 1919년에서 1938년으로 설정함으로써 20여 년에 걸친 조선혁명가들의 헌신적인 활동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한편, 처참한 지경에 처해 있으면서도 북지를 떠나지 못하는 혁명가들의 삶을 통해 동아시아의 미래가 민중의 희생과 혁명가들의 고통에 찬 노력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수」는 1939년 이루어진 작가의 북경체험에 기초하고 있다.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북경은 중층적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설정된다. 과거 즉 1938년 이전에는 재 중국 조선 혁명가들의 활동공간이자 제국주의 일본의 손아귀를 벗어나 미국이나 유럽으로 이주할 수 있는 공간이었지만 현재는 아편의 소굴이자 곳곳에 일본특무대원의 눈이 번득이는 타락한 공간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중일전쟁이 계속 진행되는 곳이기도 하다. 전쟁 없이 일본에 병합되었던 조선과 달리 중국에서는 아직도 전쟁이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 모든 것이 불가능해진 동경이나 경성과 달리 북경에서는 아직도 끈질긴 저항이 시도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 작품의 무대가 북경이 된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다. 그러나 북경의 혁명가들은 처참한 지경에 빠져있었다. 이들은 향수의 유혹에도 불구하고 북경을 떠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전향을 끝내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혹독한 현실 때문에 인간적으로 타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에게 갱생의 삶을 권하던 이현은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갱생이 아니라 ‘구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 이는 갱생으로 표현되는 전향의 논리를 거부하는 것이자 현실 정치의 논리를 거부하는 것이다. 각 민족의 일원이자 세계인의 일원이라는 자각을 품고 귀국하는 현의 모습은 동아시아의 미래가 동아시아 민중의 피와 혁명가들의 헌신에 있으며 자신도 이에 동참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anti-imperialistic aspects in “Nostalgia”.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Beijing and the outlook for the future of East Asia. This novel was published in April 1941,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At that time, Any resistance forces could not exist within Korea and Japan. By setting the background of the novel from 1919 to 1938, the writer could represent how the Korean revolutionist fiercely devoted over 20 years, even though it was indirectly. And the future of the East Asia depended on the sacrifice of the peoples and the painful efforts of the revolutionist. “Nostalgia” was based on visiting Beijing in 1939. In this novel, Beijing was a significant place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Beijing was a place where one could escape from the violence of Japan by emigration or studying abroad before 1938. But now there were many informants and opium addicts in Beijing. Nevertheless, Beijing was still in tenacious resistance, unlike Korea (Pyongyang) which had been merged into Japan without war, and unlike Japan (Tokyo) in which no one could resist on imperialism. This explains why the Beijing was chosen as a background of this novel. Then Korean revolutionists were in a terrible predicament in Beijing. In spite of strong nostalgia they could never leave Beijing because it meant conversion for them to return home or go back to the past. They had fallen by the harsh reality and Hyun –Lee advised them to be rehabilitated. But after that he saw their pain, he realized that what was needed for them was not rehabilitation but salvation. It was a denial of the logic of conversion represented in the word rehabilitation. Consciousness as a members of each ethnic and a member of the world led him to act. Finally he determined to be back in Beijing, that was a manifestation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resistance movement or the future of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