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현대 러시아 문예비평의 주요쟁점을 고찰하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연구의 두 번째 결과물로서 현대비평의 중심에 있는 비평가, 드미뜨리 브이꼬프의 비평세계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환기 메타비평의 특징 또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전환기 메타비평의 핵심은 존재론적 해석학에 기초한 ‘문학으로서의 비평’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는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비평가 스스로 주체적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한 지난한 노력의 결과로서 종합적이고도 실존적인 ‘의미’를 생산 하는 새로운 모델을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새로운 모델은 또한 독자와의 원활한 소통을 전제로 하는 전략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전환기 메타비평의 중심에 있는 브이꼬프의 비평은 무엇보다 문학 텍스트가 독자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지렛대가 되어야 하며, 비평 역시 독자의 입장에서 그 탐구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려는 진지한 자기 성찰의 행위라는 특징을 가진다. 달리 말하면 브이꼬프의 비평은 전환기 비평의 핵심과 이상이나 개념, 내용상 상당히 근접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브이꼬프에게 비평은 예술 텍스트에 대한 해석과 판단이 아니라 자기 확인, 자신에 대한 사유의 과정과 같은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브이꼬프 비평의 촉수는 작가 개인을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이꼬프가 높이 평가하는 작품은 자기 탐구 혹은 인지 효과가 높은 문학 작품으로서 대부분 작가의 실제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그의 비평이 20세기 후반부터 부상하기 시작한 에세이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과 문학이 곧 인간 탐구의 수단이며 행위 그 자체임을 천착하는 브이꼬프의 문학관이 가지는 시의성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2nd outcome of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major issues of criticism on modern Russian literatures. In the 1st research outcome, major literature issues that have continued since 1990s were investigated by classifying contents of the criticism published on New World, October, and The Flag, which are major literature magazines of 2001, by theme. Its major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modern Russian literature’s obsession to innovative attempt for epic or contents rather than literary value according to the trend of postmodernism; or criticism to the reality that neglects the responsibilities of literature itself which requires deep consideration on life and novelistic thoughts, because modern Russian literature depends on aesthetic autonomy which is guaranteed in the commercial mechanism of publication capital. These contents continued in major criticism published in 2002.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individual criticism of major modern critics. The subject for investigation was Dmitryi Bykov(Д.Быков) who is a writer, poet, and passionate criti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major contents, and literary vision of the criticism of Bykov, published in major literary magazines. By add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to the key critic that leads the trend of meta criticism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modern Russian criticism, this study not only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the 1st research, but also becomes a preliminary work for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core of metacriticism after 200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