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Robert Musil (1880-1942) is widely recognized as a major figure of European modernism, though his most famous work, The Man Without Qualities (1930-1942), continues to be better known than read. In this novel, Musil elaborates his investigative literary method of “essayism,” which strives to bring artistic and scientific think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or him, essayism—simultaneously a mode of thinking and a manner of living—provides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critiquing and reshaping a modernity he believes to be "devoid of ordering concepts." Operating in the elusive “middle zone” between thought and feeling, reality and imagination, rationality and irrationality, Musil’s essayistic writing brings the rigor of scientific thinking to bear on matters of the “soul,” particularly the ecstatic experiences of the so-called "Other Condition." Constitutive of this essayism, then, is “the sense of possibility”; for the essayist, the actual and the potential are imbued with the same value, the coexistence of what is and what is not (yet) engenders a virtual infinitude of imaginative and constructive possibilities. Ultimately, Musil affirms the importance of thinking precisely and inductively through the unrepeatable and indeterminate phenomena of the inner life. By doing so, his essaysim destabilizes an uncritical sense of reality, while suggesting more satisfying, if provisional, ways of responding to the question: “How should I live?” By its very nature, essayistic thought is inconclusive and open-ended, but in the precise attention to singular affective complexes, both actual and virtual, it opens myriad possibilities for reshaping the human and inventing finer, less-destructive manners of living.


로베르트 무질은 유럽 모더니즘의 주요 인물이지만, 그의 대표작인『특성 없는 남자』는 그 방대한 길이로 인해 작가의 명성에 비해 그리 널리 읽히지 않는다. 무질은 이 작품 속에서“에세이즘”이라는 문학 기법을 탐구하는데, 이 기법은 예술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가 서로 만나는 접점을 제공한다. 무질에게 있어서 에세이즘은 사고의 방식이자 삶의 태도가 되는 동시에, 그가 “질서 정연한 개념이 부재한다”라고 정의하는 근대성의 개념을 비판하고 재고하게 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무질의 에세이적 글쓰기는 사고와 감정, 실제와 상상, 이성과 비이성 사이의 실체를 규정하기 힘든“중간 지대”에서 작동하며, 과학적 사고의 엄격함에 “영혼”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에세이즘의 본질은“가능성”에 있다. 에세이스트에게 실제와 가능성은 동등한 가치를 지니며, 실재하는 것과 아직 실재하지 않는 것은 서로 공존하면서 상상적이고 구성적인 가상의 무한한 가능성들을 만들어낸다. 이와 같이, 무질은 삶의 내부에 존재하는 반복이나 확정이 불가능한 현상들을 통해, 정확하고 귀납적인 사고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질의 에세이즘은 현실에 관해 무비판적으로 접근하는 태도에 의문을 제기하고,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비록 불완전할지언정 보다 만족스러운 답변들을 제시한다. 무질의 에세이스트적 사고방식은 그 본질 자체가 비결정적이고 열려있다. 에세이스트적 사고를 통해 우리는 실제 또는 가상의 개별적인 감정의 복합체 각각에 정밀한 주의를 기울이며, 인간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고, 보다 훌륭하고 덜 파괴적인 삶의 방식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