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상과 스포츠 자신감을 알아보고, 신체상이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 질문지, 신체상 질문지, SSCQ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491명의 자료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검정을 위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Window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변 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기 여학생은 운동행동변화단계에 있어 대부분이 계획전, 계획단계에 있었다. 둘째,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상은 건강체력평가와 외모전반평가에서 유지단계가 계획전 단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 자신감은 교사만족에서 행동단계가 유지단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상의 하위요인 중 몸치장, 건강체력평가, 외모전반평가는 스포츠 자신감의 하위요인 중 격려와 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신장불만은 부적영향을 미쳤다. 또한 건강체력평가와 외모전반평가는 교사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y image and sports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of schoolgir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4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Busan. The means of measurement used were the body image scale, sports self-confidence scale and the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girls'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Second, the girls' maintenance stage was higher than the precontemplation stages in health/fitness evaluation and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The action stage was higher than the maintenance stage of teacher satisfaction. Third, grooming, health/fitness evaluation,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couragement and accomplishment; height dis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Also health/fitness evaluation,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