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체육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증대는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며 궁극적으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평생체육의 기반이 되어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운동참여가가능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신체발달과정 중 가장 중요한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의체육활동이 운동지속수행에 영향을 준다면 좁게는 학생들의 체력과 운동기능을 향상시키고 넓게는정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소양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원동력이될 수 있다. 이렇듯 적극적인 평생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학교체육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한 체육수업의 만족도 증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시점에서 학교체육수업의 만족도가 고등학교 학생들의 향후 운동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학교형태별로 유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430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 t-test,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만족도는 수업운영과 수업환경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지속의사에서는 운동지속경향성과 운동지속강화성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따른 체육수업만족도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운동지속경향성에는 수업운영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지속강화성에는 남학생의 경우 수업운영만이 영향을 미쳤으며여학생의 경우 수업운영과 수업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high school students' continued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por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430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through a method of purposive sampl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 t-test, a correlational analysis, and a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atisfact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boys had a higher level of class management and environment than girls. Also, in terms of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sports, the boys had a higher sports predictability and sports reinforcing than the girls; Second, class management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edicting the students' intent to continue sports for both boys and girls. In case of reinforcing sports continuance, class management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boys while class management and environment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