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학교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관련 부끄러움과 자책감, 운동행동조절과 운동참여 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광주, 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 이상 비만아동 240명, 정성 아동 716명 총 956명을 대상으로 신체관련 부끄러움과 자책감 척도, 운동행동조절 척도를 사용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비민아동과 정상아동의 신체관련 부끄러움과 자책감, 운동 조절행동 및 운동참여를 비교한 결과비만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해 신체관련 부끄러움과 자책감, 외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아동은 비만아동에 비해 내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비만 아동에 있어서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관련 자책감과 부끄러움은 투사적 조절과 운동참여 기간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자책감은 외적 조절과 상관이 있었다. 3.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관련 부끄러움과 자책감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운동행동조절과 운동참여를 내생변인으로 한 이 연구의 모델은 전반적인 지수가( χ 2 /df , GFI, NFI, TLI ) 높게나타나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구조 경로에 대한 지수를 분석한 결과 신체관련 자책감 ➔ 확인적 조절, 부끄러움 ➔ 외적조절, 부끄러움 ➔ 확인적 조절, 부끄러움 ➔ 운동참여, 내적 조절 ➔ 운동참여 경로가 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ody-related shame and guilt, behavior regul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in obese children. The subjects were 956 children (obese: 240, non-obese: 716) who live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This study used scales that indicated body-related shame and guilt by Rauh,Hebebrand, & Rief (2007), behavior regulation by Mullan, Markland, & Ingledew (1997), and an exercise participat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obese and general children, the obese showed higher body-related shame and guilt, and greater external regulation than those of non-obese children;but non-obese children showed higher intrinsic regulation than the obese. 2. In an analysis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in the obes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ody-related shame and guilt, introjected regulation, and periods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between body-related guilt and external regulation. 3. In a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a revised model was chosen over the theoretical model because χ 2 /df was lower than 3.0, and the GFI, NFI, TLI were more than 0.90. 4. The paths of body-related guilt ➔ identified regulation, body-related shame ➔ external regulation, body-related shame ➔ exercise participation, intrinsic regulation ➔ exercise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