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토론 주제와 관련하여 사전훈련을 제공하는 웹 기반 토론에서 토론을 지원하기 위한 루브릭 유형이 토론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생 23명을 7그룹으로 나누어 3그룹은 자기평가를 할 수 있는 루브릭 Ⅰ을 제공하고 나머지 4그룹은 자기평가와 동료 평가를 할 수 있는 루브릭 Ⅱ를 제공하였다. 실험은 총 3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 며 1, 2차시는 토론 주제와 관련하여 자신에게 설명하기 활동으로 사전훈련을 진행하였고 3차시에 는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을 진행하였다.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을 마친 후에는 모든 학습자들이 개인 논증문을 최종 산출물로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 토론 과정에서 팀원 간의 의사소통 이해도는 루브 릭 II를 제공받은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토론 과정 만족도, 집단 응집성 측면에서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제공받은 루브릭을 활용하여 다른 사람의 논증문 을 평가한 것이 팀원 간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논증의 질 을 측정한 토론 성과에서는 루브릭 Ⅱ를 제공받은 그룹이 루브릭 Ⅰ을 제공받은 그룹보다 더 높은 토론 성과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루브릭 Ⅱ를 제공 받아 동료평가를 실시한 그룹의 의사소통 이해도가 높았던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동료평가를 통한 의사소통 이해도의 향상 이 효과적인 토론을 이끌어 논증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 결과 는 토론 주제 관련 사전훈련을 제공하는 웹 기반 동시적 토론에서 학습자에게 동료 평가를 적용하 는 것이 의사소통 이해도를 높이고 논증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준다. 또 한 효과적인 토론을 위한 토론 지원 전략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전략이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rubric on discussion processes and outcomes and to explore the effective strategies of web-based concurrent discussion. The participants were 23 undergraduate students of D Women’s Univers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for concurrent discussion in a web-based environment. Three groups of 10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rubric Type Ⅰ to conduct self-evaluation and the remaining four groups of 13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rubric Type Ⅱ to conduct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 total of three times.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pre-training sessions by employing self-explanation activities with a discussion topic and the third was conducted as a web-based concurrent discussion. After the concurrent discussion in a web-based environment, all participants submitted personal argumentative essays as final produ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elf and peer-evaluatio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self-evaluation group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As for the other dependent measures, satisfaction on discussion processes and group coherence, the self and peer-evaluatio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self-evaluation group.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eer-evaluation promoted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improved discussion outcomes in case of conducting peer-evaluation after pre-training of self-explanation activities in a web-based concurrent discuss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