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시조와 하이쿠의 자연관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먼저‘풍경흥취의 공간으로서의 자연’을 보면 時調는 유학의 道를 실현하는 영원한 場으로서의 자연이라면 하이쿠는 찰나적인 자연변화의 순간을 포착해 형상화해 낸 자연이었다. ‘閑의 공간으로서의 자연’은 시조가 ‘貧’을 통해 ‘安’을 우선시 하는 자연공간으로 본 반면에 하이쿠는 ‘貧’을 통한 자연공간을 ‘安’보다 중요하게 인식했다. 그래서 하이쿠에는 淸貧이 주로 드러났다. 자연에 대한 인식은 문화이다. 자연관을 통해 드러난 한일시가에나타난 주된 차이점은 유교문화적 경향이 강한 자연관과 불교문화적 경향이 짙은 자연관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하이쿠는 시조와 같이 松尾芭蕉에 의해 시적 구조에서도 자아와 자연이 合一되는 전형이 생겨나 한 차원 높은 詩性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면에서 시조가 강호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 하겠다.


Sijo and Haiku hav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They are both finest and shortest poetries with fixed forms and have been written and enjoyed up to date. Sijo contains lots of information and exposes the contents and themes very well, but Heiku has difficulty of putting in all into 17 syllables. Kigo and Kijeri make up for this difficulty and are included in every Haiku. Our result of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Sijo depicts nature as an everlasting space of realizing Confucian principle while Haiku depicts instant changes of nature. Second, Sijo puts comfort above poverty but Heiku puts poverty above comfort. This is why Haiku usually shows noble poverty. The difference in view of nature of two poetries resulted from the Confucian and Buddhist view of nature. In spite of this difference, Haiku was developed into a poetry of high quality due to its typical structural pattern of unifying self and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