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6년 2월에 베를린 뤼틀리 학교(Rütli-Schule)에서 벌어진 사건은 독일 사회에 이주 배경 학생의 교육과 사회 통합에 대해 커다란 사회적 화두를 던졌다. 독일 사회는 이전까지 단일 문화나 가치 또는 강한 주도문화를 암묵적으로 지지하였는데, 특히 교육 부분에서 이런 경향은 더 심했다. 하지만 뤼틀리 학교 사건은 독일 사회의 이런 암묵적 전제에 균열을 냈으며, 이제 독일 사회도 다종족 또는 다문화사회이며, 이주민의 독일 사회 통합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베를린 시의회와 기초자치단체는 다양한 전문가와 교사들과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고 과감한 시도를 하였다. 기존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하고 복합적인 방법들이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동원되었다. 특히 중동 이주 배경 학생들에 대한 사회적 연대와 전폭적 재정지원,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사회적, 교육적 배려 정책 그리고 교육 시스템의 획기적 구조개혁이 동원되었는데, 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 상승효과를 낳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성취력 향상 그리고 학부모들의 교육과 사회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이루어졌고, 이 때문에 뤼틀리 사건은 독일 현대 사회에서 이주민 통합정책의 중대한 전환으로 평가받고 있다. 뤼틀리 학교 사건은 베를린에서도 노이쾰른이라는 독특한 지역성과 역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있는 학교에 그대로 이식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제 원인과 양상이 상당히 다를지라도 문제 해결을 위한 많은 상상력과 처방을 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는 문화를 넘어서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한국의 이주민 통합과 교육에도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Most Germans were astonished by the incident that took place in Rütli Hauptschule, Neukölln, Berlin, which became a chance to look back on the social mix policy and integrated education in Germany. In addition, it becam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ople’s way of thinking that it would be impossible for the people with a background of emigration from Islamic countries to coexist through an integration policy since they have values, norms and world-view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ermans. The Rütli incident showed the facts that some problematic students from the Middle East, too, have the same desire and hope as Germans do and that they, also, can be dignified human beings if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is relieved and there are proper hands of care, support and solidarity. Examining why an integrated education at the Rütli School failed and what means and methods the community and school used for the integration of these problematic students is important for an education for cultural integration of immigrants and worker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re different in South Korea and Germany, but this instance provides a great deal of implic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integrated education policy which gets increasingly more important in South Korea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