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nges i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due to demographic (sex, parents’ education level), individual (peer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community awareness, sense of community), and environmental (ratio of registered foreigners to adolescents) factors.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four-year (8th-11th grades) longitudina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increased over time.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1) sex, community awarenes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intercep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lope; (2)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eer relationships had positive influences only on the initial statu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3) sense of commun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ly on the intercep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본고의 연구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며 성장과 발달을 경험하는세대인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다문화 수용성수준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중 중1패널의 2-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선형변화하는 가운데, 다문화 수용성의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개인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남자청소년에 비해 여자청소년이, 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의 초기치는 높았고, 시간이 흐름에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친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지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의 초기치가 높았으나 변화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지역사회를 긍정적으로 인지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의 초기치는 오히려 낮은 수준을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 수준 변화를 위해 개입해야 할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다문화 수용성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