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cholars in the literature of political knowledge have long debated whether ordinary citizens are information generalists or specialists. Their contributions notwithstanding, they have not had a common conceptual foundation of political knowledge and thei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democracies. This study is an effort to shed new light on the debate by re-conceptualizing political knowledge and exploring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knowledge in South Korea, one of the representative East Asian democracies. Using the Korea Democracy Barometer 2010, the study compared factual politic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about democracy.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 types of knowledge are weakly correlated and their sources differ to some degree. These findings make an important implication about Korean democracy in that factually knowledgeable citizens may not necessarily be informed about democracy.


최근 학자들 사이에서 정치지식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외의 학자들은 일반 시민들이 정치지식 분야에서 일반주의자인지 혹은 특수주의자들인지에 관해 논쟁하고 있는데, 이 논쟁에서 정치지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 합의는 부족하고, 다수의 연구는 여전히 서구에 기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 신생민주주의 국가인 한국의 시민들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정치지식을 새롭게 재개념화 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탐색한다. 본 연구는 2010년 한국민주주의 바로미터 조사를 활용해 정치에 관한 사실적 지식과 민주주의에 관한 개념적 지식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두 종류의 지식 간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났고, 결정요인에서도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정치 정보가 높은 이들과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적 지식이 높은 이들이 하나의 차원으로 수렴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