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유길준이 『서유견문』에서 국한문혼용체를 사용하게 된 문화사적 맥락을 점검하고 그러한 문체가 지니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국문과 한문의 혼용이란 곧 하층과 상층 언어의 교류를 의미한다. 지식인 유길준이 지향했던 변화된 언어의 세계는 한글의 세계였다. 하지만, 그러한 세계의 구현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었다. 그에게는 『한성순보』의 국한문 사용 좌절의 기억과, 『한성주보』의 한글 사용과 순한문으로의 회귀 과정 등 몇 가지 교훈과 학습의 기회가 있었다. 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유길준이 『서유견문』에서 선택 활용한 문체가 국한문혼용체였다. 유길준은 소학교육(小學敎育) 교재에 해당하는 『노동야학독본』을 한글로 기획했다. 그러나 이 역시 인쇄 표기는 한글 대신 부속국문 표기를 사용했다. 한문(漢文)은 버릴 수 있지만, 아직은 한자(漢字)를 버리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언젠가는 한글만으로 문장을 쓰는 일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그 길로 가는 과정이 바로 한자를 훈독하는 것이었다. 한자의 훈독이 장차 국문 전용을 정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유길준의 한자 훈독 주장을 단순히 일본 문장의 영향으로 보고 비난한 지금까지 학계의 연구는 잘못된 것이다. 그러한 오류는 『노동야학독본』의 원문과 표기 방식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다. 『노동야학독본』의 탄생 과정에 대한 그릇된 이해를 근거로, 다시 『서유견문』의 문체를 비판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은 대부분 수정되어야만 한다. 『서유견문』은 계몽 혹은 교화를 목적으로 집필된 것이다. 유길준이 가장 먼저 대화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은 당시의 지식인 및 이른바 정관계의 유력자들이었다. 이 점 또한 『서유견문』의 문체가 지닌 특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서유견문』에서 유길준이 순한글체 문장을 사용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근대계몽기 문체와 독자 계층 사이의 상관관계 속에서 해명될 수 있다. 『서유견문』의 현토체는 한문에 익숙하고 심지어 한글에는 거부감까지 지니고 있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쓴 문체였다. 따라서 유길준은 『서유견문』에서 한글의 사용을 최소화 했다. 그렇게 해야만 의사소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유길준이 『서유견문』에서 사용한 국한문혼용의 현토체는 아직 일반 대중들이 개화의 주체로 나설 수 없는 시대적 한계 속에서, 그가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언어 현실과의 타협의 결과이기도 했다. 유길준은 자국어에 대한 자부심을 실제 언어 생활로 연결시키는 데에는 일정한 절차와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서유견문』의 문체는 근대계몽기 지식인의 자부심과 인내(忍耐)가 결합된 과도기적 산물이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a cultural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style of Yu, Kil-chun and to study the historial meaning of the literary style of the 『Sŏyu Kyŏnmun(西遊見聞)』. In this book, which was written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he included many Chinese characters in his sentences. Some scholars of the linguistics criticize him for using Chinese characters. They argue that the literary style of Yu, Kil-chun and the 『Sŏyu Kyŏnmun』 is symptom of regression from the custom of using Korean characters(hangeul). However, this study takes a different perspective. Yu, Kil-chun belived that it was ideal for Koreans to use the Korean characters and that it would be possible for him to use only Korean characters in his book in near future. The reason he included Chinese characters in his book was because the readers of the 『Sŏyu Kyŏnmun』 were the intellectuals who were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and who repulsed the use of only Korean characters. So, it was necessary for him to use the Chinese and Korean in combinatio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with the readers. Therefore, the literary style of Yu, Kil-chun was a result of compromise but also his possibly best option in cultural situation in early modern Korea. Also, he insisted to read the Chinese letters in Korean way when reading his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He believed that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way could be one of the preparation stage for the next cultural state where only Korean characters ar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