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란 E. H. 카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한 것처럼 현재와 과거의 의사소통으로 구성되는 서사다. 현재와 과거의 의사소통관계는 일차적으로 “현재와 과거의 대화”의 주도권이 어디에 있느냐로 결정된다. 현재와 과거의 대화 방식에 따라 각 시대의 역사담론이 성립했다. 따라서 역사서술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역사담론의 변화로 전개된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담론은 일반적으로 전근대, 근대, 탈근대로 시대구분 된다. 첫째, 전근대 역사담론은 “역사는 삶의 스승(historia magistra viate)”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전근대에서 역사는 인간 삶의 의미를 규정하는 ‘초월적 기의(Signifie)’의 역할을 했다. 전통시대 역사가는 인간 존재의 의미를 규정하는 ‘초월적 기의’를 구성할 만한 과거의 범례를 찾아내 기록하는 것을 역사서술의 목적으로 삼음으로써, 과거는 현재를 비평하는 준거가 되었다. 둘째, 근대의 역사담론은 과거를 현재적 삶의 전범이 아니라 극복하려는 계몽의 기획에 입각해서 성립했다. 근대 진보사관은 과거의 기록으로서 역사를 넘어서 미래의 기획으로서 역사 개념을 만들어냈다. 이 같은 근대 역사개념은 개별적인 역사들(histories)을 포괄하는 거대담론인 대문자역사(History)를 함축한다. 대문자역사의 출현을 통해 과거는 더 이상 현재를 비평하는 준거가 아니라 현재가 극복해야할 대상이 되었다. 셋째, 탈근대 역사담론은 대문자역사를 해체하여 역사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문제의식으로 성립했다. 과학으로서 역사는 위기지만, 대중적인 역사서사는 전성시대를 맞이한 것은 역사담론의 탈근대적 전환을 반영한다. 탈근대 역사담론은 마르크스의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11번째 테제를 다음과 같이 역전시켰다. “근대에서는 세계를 한 가지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하지만 탈근대에서 중요한 것은 세계를 여러 가지로 해석하는 것이다.” 근대가 혁명의 시대라면, 탈근대는 비평의 시대다. 전근대에는 도덕적 당위에 의거한 역사비평이 역사담론의 헤게모니를 가졌지만, 역사서술을 역사학자의 전유물로 만든 근대 역사학은 역사의 삶에 대한 비평적 기능을 상실시킴으로써 역사학 위기가 발생했다. 탈근대에서 역사학은 위기에 직면해있지만, 소문자역사들의 귀환을 통해 역사서사의 전성시대가 열렸다. 과거가 이미 완결된 책(book)이라면, 역사란 그에 대한 비평으로 쓴 작품(work)이다. 탈근대에서는 과거에 대한 비평을 하는 모든 사람이 역사가다. 앨빈 토플러 말대로 생산과 소비의 분업이 해체된 ‘프로슈밍(prosuming)’ 시대에서 역사생산자인 역사가와 역사소비자인 대중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역사비평의 입지는 계속 강화될 전망이다. 역사학의 위기가 모든 사람이 역사가는 못될지언정 적어도 모든 사람이 역사비평가가 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면, 흔히 하는 말로 위기는 바로 기회다.


History is a narrative composed by th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and the past, E. H. Carr once describing it as “the endless dialogu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pertinent side of the initiative. An appropriate historical discourse of every epoch is constructed by way of this dialogue. We, thus, may say that the history of the historiography has been basically developed by the changes in historical discourse. The periodization of the discourse is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pre-moder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ages. First, pre-modern historical discourse is well expressed by the famous words of Cicero, “historia magistra viate” (History is a teacher of human life). Historians then write their histories by way of criticizing the given present time according to the precedents of the past. Second, modern historical discourse c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lightenment, which viewed the past not as an example for the present but as an obstacle to the future's progress. In other words, the progressivism of the modern historical discourse created the future-type project beyond history as the records of past; therefore, the idea becomes a grand narrative covering all of the different histories. The past loses its function of criticizing the present. This modern concept of history as a grand narrative allowed the modern time to be viewed as a revolutionary age. Third,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 serves to excavate each history that has been buried by “History as Grand Narrative.” Although a scientific approach to history has reached a crisis, historical narratives have become popular, which reflects the “the postmodern turn of historical discourse.” On the other hand, as we all know, the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 reverses the Marxian 11th thesis of Ludwig Feuerbach, as follows: “People attempted to change the world in one way; however, in the postmodern age, various ways of thinking have become significant. If the modern era is considered as a revolutionary age, the postmodern er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age of criticism. While the moral right, in their pre-modern historical criticism, belongs to the hegemony of the historical discourse, modern history in which historiography is the exclusive property of professional historians loses the function of history as the criticism of life, finally facing a crisis. Although historical science has confronted a critical stage, historical narratives have become popular through “the return of micro-histories.”If the past is a finished book, then history is rather related to a work that is written to criticize the past. Every man who critiques the past is a historian in the postmodern time. According to Alvin Toffler, the term “prosuming” describes “the open source-like phenomenon of people” producing what they consume. The producers of historical dramas and historical novelists critically reuse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become prosumers. In this “prosuming” age, historical criticism is expected to play major role. With the crisis of historical science, people may have an opportunity to become history critics but not historians. If so, we can apply the common phrase, “opportunities are found in times of cri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