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연세대학교 부설 한국학연구소인 <국학연구원>의 학술적 실천을 대표하는 『동방학지』의 경험을 복원하고 평가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국학연구원>이 한국학계 내외의 제도적․비제도적 조건 변화에 대응하면서 독특한 정체성과 문화를 형성, 유지해온 맥락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국학연구원>의 의견이나 자기합리화에 휩쓸리지 않고 『동방학지』의 객관적 의미를 포착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 과거에 대한 반성에 머물지 않고 현재 상황에 대해서도 냉정하게 검토함으로써 <국학연구원>과 『동방학지』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동방학지』의 발자취를 크게 '동방학연구소' 시절(1953~77년)과 <국학연구원> 시절(1977~현재)로 나누고, 이 2시기를 재정 지원을 비롯한 내외적 조건에 따라 다시 2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4시기 각각에 대해서 『동방학지』 발간에 개입한 다양한 차원의 물질적․인적 조건들을 검토하는 한편, 그러한 조건들과 교섭하면서 <국학연구원>이 『동방학지』를 통해 추구하고 축적해온 경험과 문화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동방학지』를 통한 <국학연구원>의 학술적 실천을 한국학의 구성이라는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동방학지』를 구성하고 있는 지식들과 그 생산자들의 배치의 특징과 변화 양상을 추적했다. 대학의 한국학연구소들은 대학 본부의 지원 정책, 학과와 전공 교수의 구성, 연구소 운영 주체들의 학술이념과 성향, 그리고 그 밖의 다양한 교내외의 조건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서로 다른 경험과 문화를 축적해왔다. 따라서 <국학연구원>과 『동방학지』의 경험에는 일반화하거나 보편화할 수 없는 지점도 많다. 하지만 나는 이 글이 <국학연구원>과 『동방학지』의 특성을 드러내는 데 머물지 않고 더 넓게 한국학 아카데미아의 성장 및 그 특징을 성찰하는 데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다.


The article is designed to restore the experiences of The Dong Bang Hak Chi: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which represents the academic practices of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f Yonsei University, and to evaluate these experiences. Throughout the article, I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unique identity and culture created and maintained by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s I responded to the changes from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conditions from inside and outside the circles of Korean Studies. I also endeavored to grasp the objective meaning of The Dong Bang Hak Chi while not being swayed by opinions from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r by self-justified interpretations. Moreover, by calmly reviewing present situations while not remaining in a state of self-reflection of the past, I attempted to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nd The Dong Bang Hak Chi. Additionally, the article makes an effort to contribute to a preliminary study of the historiography track of university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in the course of historical developments while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Institutes for Korean studies at universities are influenced by a number of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s, including the supporting policy of the universities, the composition of academic majors and professors, different academic ideologies, and the tendencies of the operating bodies of the institutes. Therefore, there are many points which cannot be generaliz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Institutes For Korean Studies and The Dong Bang Hak Chi. In this article, I try to interpret the activities of the Institutes for Korean Studies and The Dong Bang Hak Chi on a broader scale by connecting them to the growth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a involved in Korean Studies. For this research project, I roughly classified the track of The Dong Bang Hak Chi to the period of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1953~77) and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1977~present), and categorized these two periods into two stages according to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including financial support. For each of the resulting four stages, I reviewed various materials and person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Dong Bang Hak Chi and studied the experience and culture that are pursued and maintained by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rough The Dong Bang Hak Chi, while at the same time negotiating with these conditions. Beyond that, I aimed to analyze the academic practices of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rough The Dong Bang Hak Ch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osition of Korean Studies and trace the knowledge connected to The Dong Bang Hak Chi,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ments of its producers, and its tendency for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