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러 자료, 통계, 지표들이 보여주고 있듯 신자유주의 아래 시장만능주의가 지배하는 현금의 지식과 학문과 교육은 한국과 세계 모두 전면적인 위기를 겪고 있다. 이들을 통합적으로 엮는 대안의 모색은 불가능한 것인가? 이제 좀 더 근본적이고 발본적인 해법을 모색할 때로 보인다. 지식의 궁극적 목표로서의 ‘인간성’, 학문의 존재이유로서의 ‘사회성’, 교육의 기저 지향가치로서의 ‘공공성’을 함께 발양하기 위한 통합체계로서의 사회인문학은 하나의 잠정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식은 무엇보다도 인간성 고양을 목표로 하지 않으면 안 되며, 학문은 마땅히 전체로서의 사회를 문제 삼아야 하며, 교육은 또 반드시 공공성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할 때 하나의 통학문(統/通學問) 체제로서 사회인문학은 지식과 학문과 교육의 세 차원과 영역을, 가로지르는 동시에 다시 섞고, 끝내는 하나로 묶어낼 수 있는 궁구가 아닐까 싶다. 그것은 삶과 지식, 학문과 사회, 공공과 사사, 교육과 학습, 전체와 부분을 가르는 기존의 전통적인 경계와 분획들을 고의로 모호하게 하여 필요한 파열과 중첩과 돌파를 만들어낼 새로운 융합체계로 추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말할 필요도 없이 본고는, 앞으로 사회인문학에 대한 풍부하고 심도 깊은 논의가 분야별로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하는 하나의 초보적 문제제기에 불과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Under the apogee of rampant neo-liberalism, knowledge, (human) science, and education are all in total crisis. Can we craft and suggest a comprehensive, consilient, and all-inclusive system covering these three fields?Social Humanities is one such possible system. It is a tentative device to grasp the nature of knowledge, science, and education respectively and inter-connectedly: humanity, plurality-sociality, and the public. It intentionally aims to blur the traditional boundaries and the delineation between life and knowledge, science and society, the public and the individual, the whole and the part, teaching and learning, etc. Needless to say, it may develop into a uni-disciplinary system of knowledge, human science and education, simultaneously following the very gist of humanitas and universitas. However, this paper is just a rough beginning for a more detailed and deeper discussion in theory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