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전서사문학과 디지털문화콘텐츠와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고전서사문학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디지털스토리텔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고전서사문학과 디지털스토리텔링 사이의 서사적 상관성은 유사성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대별하여 살펴보았다. 고전서사문학과 디지털스토리텔링 간의 서사적 유사성은 주제의 보편성과 상투성, 장면의 분절성, 인물의 정형성, 행동 중심의 스토리텔링, 과업 성취 위주의 스토리텔링의 다섯 가지 국면으로 정리하였다. 고전서사문학과 디지털스토리텔링 간의 서사적 차별성은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구현매체의 특성에 의한 차이이고, 두 번째는 세계관의 차원이다. 다음으로 고전서사문학 스토리텔링 방식의 디지털스토리텔링화 가능성을 세 가지 측면으로 모색해 보았다. 첫 번째는 역사에 대한 허구적 말하기와 “대체역사”이다. 두 번째는 “백과전서적 지식의 나열”과 지적인 흥미를 유발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는 전투·전쟁 스토리텔링의 스펙터클과 “연의기법”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seek ways to connect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contemplation to the narr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The narr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m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llowing division, the narrative similariti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universality of theme, segmentality of the scene, type of character, storytelling based on action, and task-centered storytelling. Meanwhile, the narrative differences were analyzed into two parts: distinction by media materializing it and view of the world. Additionally, this paper attempted to make academic the storytelling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digital storytelling. There are three components. The first is fictional speaking and "the substituted history." The second is "the enumeration of encyclopedic knowledge." The third is "the spectacle of the martial story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