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籩과 豆는 고금의 국가 제례에서 신령에게 지극한 정성을 바치는 징표로서 陸産‧水産의 다양한 肉膳과 素膳들을 골고루 담아 진헌하는 데 사용된 중요 祭器 겸 饌器이다. 동일 수량의 변과 두에 땅과 물에서 나고 자란 다채로운 재료들로 만든 식물성‧동물성 음식을 번갈아 골고루 담되, 대나무로 만든 변에는 마른 음식을 담고, 나무로 만든 두에는 젖은 음식을 담았다. 중국 고대의 三禮書(『周禮』, 『儀禮』, 『禮記』)에서 변‧두의 진설 법식과 용례의 원형이 기록되었고, 당대의 『大唐開元禮』에서 관련 禮制와 진설 법식이 1차적으로 정리되었다. 즉 제례의 大祀‧中祀‧小祀 등의 구별에 상응하여 변과 두를 각각 12-10-8-4-2-1개씩 차등 진설하는 기본 원칙이 정해졌고, 이 원칙이 宋代를 거쳐 明淸 시대까지 계승되었으며, 다만 음식의 세부 품목에서 시대별 변천과 가감이 발생하였다. 조선의 국가 제례에도 이러한 변‧두 진설의 기본 원칙이 그대로 수용되되, 음식의 세부 품목에서는 독자적인 취사선택의 과정을 거쳤다. 한편 변‧두의 도설과 제도도 고금을 통해 계속 진화하였는데, 북송 초기의 『三禮圖』에서는 古制의 원형을 비교적 충실히 보존한 변‧두의 도설을 수록하였고, 남송대의 『紹煕州縣釋奠儀圖』, 명대의 『大明集禮』 등에서는 전대의 성과를 계승하면서도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좀더 진일보한 양식과 합리적인 규격을 갖춘 새로운 도설들을 차례로 수록하였다. 조선시대의 국가 제례에 수용된 변‧두의 도설과 용례는 삼례서, 『대당개원례』, 『삼례도』, 『소희주현석전의도』, 『대명집례』 등에서 종합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수용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응용‧개정한 부분도 확인된다. 우선 세종대의 『世宗實錄』 「五禮」에 수록된 변‧두의 도설은 『소희주현석전의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고, 성종대의 『國朝五禮序例』에 수록된 도설은 『소희주현석전의도』를 계승하되 일부 응용과 변형을 가미한 것이다. 이에 비해 정조대의 『春官通考』의 도설은 『대명집례』로부터 보다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춘관통고』와 비슷한 연대에 제작된 『社稷署儀軌』, 『景慕宮儀軌』 등도 『춘관통고』, 『대명집례』와 흡사한 유형의 변‧두의 도설을 수록하였다. 그런데 『국조오례서례』와 『춘관통고』의 중간 시기인 인조 연간과 숙종 연간에 각각 제작된 『祭器樂器都監儀軌』와 『宗廟儀軌』에서는 양자와는 다른 독특한 유형의 변‧두 도설을 수록하고 있어 주목된다. 또한 대한제국 시기의 『大韓禮典』에서는 오히려 『국조오례서례』와 흡사한 유형으로 복귀하는 듯한 흐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대의 연혁을 거쳐 조선시대 국가 의례에서 상용된 변‧두는 大祀‧中祀‧小祀‧祈告‧俗祭‧州縣 등 개별 제례의 규모와 중요도에 상응하여 진설 수량과 배열 방식에 차등을 두면서 운용되었다. 즉 대사인 종묘 五享大祭, 사직 춘추제, 圜丘祭(대한제국 시기)에서는 각각 12개씩, 중사인 文宣王‧先農‧嶽海瀆‧先蠶‧雩祀‧歷代始祖‧風雲雷雨에게 올리는 정기 제례에서는 각각 10개씩 진설되었고, 소사 이하의 다수 제례들에서는 각각의 규모와 절차에 따라 8-4-2-1개씩 상이하게 진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려시대 국가 제례의 변‧두 진설 규정과의 연관성 및 유사점‧차이점도 확인되지만, 전체적으로는 변‧두 진설이 전대에 비해 보다 정밀하게 세분화‧체계화되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한편 변‧두 외에 簠‧簋‧俎‧鼎‧㽅‧鉶‧尊‧罍 등 다른 제기들도 각자 다양한 세부 규정과 법식에 따라 진설되었으며, 국가 제례의 상차림은 이들 각종 법식과 규정의 정확하고 섬세한 봉행을 통해 운용되었을 것이다. 여타 제기들에 대한 개별 분석 및 제기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정리 작업을 통해 국가 제례 상차림의 규모와 등급을 해당 제례의 위상과 비중‧중요도 등과 연계시켜 보다 전반적이고도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듯한데, 이 문제들은 지면 관계상 別稿를 기약하겠다.


籩 and 豆 are used to present various foods made of meat and vegetables as a sign of the most sincere devotion for divine spirits in national rituals throughout all ages. They put vegetables and animal foods made from various ingredients born and raised on land and water in the same quantity of 籩 and 豆 evenly and alternatively, and put dry food in 籩 made of bamboo and wet food in 豆 made of wood. Original forms of arrangement rules and norms for using of 籩․豆 were recorded in 三禮書 (周禮, 儀禮, 禮記) of ancient China. A ritual system and basic principles of arrangement of 籩․豆 were clearly decided in 大唐開元禮 during the Tang Dynasty. That is, corresponding to distinction of 大祀․中祀․小祀 in national rituals, 籩․豆 were arranged differently in quantities of 12-10-8-4-2-1. These principles had been succeeded from the Song to Ming and Qing China, and were mostly accepted in the national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detailed items of foods had undergone independent adoption or rejection processes. The illustrations and manufacturing standards of 籩․豆 had evolved throughout the ages; therefore, 三禮圖 of Northern Song contained illustrations of 籩․豆 where original forms of ancient time were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while 紹煕州縣釋奠儀圖 of Southern Song and 大明集禮 of Ming Dynasty contained new illustrations with more advanced forms and more reasonable specifications succeed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periods. The illustrations and manufacturing standards of 籩․豆 accepted in the national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had been influenced by 三禮書, 大唐開元禮, 三禮圖, 紹煕州縣釋奠儀圖 and 大明集禮 comprehensively, and were independently revised during the acceptance process. First of all, illustrations of 籩․豆 included in 世宗實錄 「五禮」 were highly influenced by 紹煕州縣釋奠儀圖, while illustrations in 國朝五禮序例 succeeded 紹煕州縣釋奠儀圖 but inspired partial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n the other hand, illustrations in 春官通考 were directly influenced by 大明集禮. 社稷署儀軌, 景慕宮儀軌 etc. that were made around the same time as 春官通考 included illustrations of 籩․豆 in similar type to 春官通考 and 大明集禮. But 祭器樂器都監儀軌 and 宗廟儀軌 made during the middle period between 國朝五禮序例 and 春官通考 included 籩․豆 in unique type different from 國朝五禮序例 and 春官通考. Consequently, 大韓禮典 in the Great Han Empire showed a flow that suggests a return to a type similar to 國朝五禮序例. Through this past history, 籩․豆 were commonly used in the national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were operated in such a way that differentiated the quantity of arrangement in response to the scale and importance of individual ancestral rites such as 大祀․中祀․小祀․祈告․俗祭․州縣 etc. That is, in the five greatest rites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spring and fall rites of Land God and Grain God, 圜丘祭 (in Great Han Empire) which are 大祀, twelve items were arranged respectively. And in the memorial services offering to 文宣王․先農․嶽海瀆․先蠶․雩祀․歷代始祖․風雲雷雨 which are 中祀, ten items were arranged. In many memorial services which are 小祀 and under, 8-4-2-1 items were arran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and procedures of each. In this process, connectio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籩․豆 arrangement rules of the national rituals of the Koryŏ Dynasty are also identified but in general, 籩․豆 arrangement was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being subdivided and systemized more precisely compared to the last period. Furthermore, other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such as 簠․簋․俎․鼎․㽅․鉶․尊․罍 etc. other than 籩․豆 were also arranged according to a variety of detailed regulations and formalities, while the table setting of the national ancestral rites may have been operated by carrying out these various formalities and regulations accurately. Through individual analysis on other utensils and a comprehensive comparison and summary of all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the size and grade of the table setting of the national rituals may be identified more generally and organically by connecting them with the status and relative importance of the national rituals; however, these issues will be covered in another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