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자들은 최근 신채호의『대동역사(고대사)』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국학자료실에 소장된 사실을 발견하였다.『대동역사』의 서언은 이미 학계에 보고된『無涯散稿』의『대동제국사서언』과 동일하다. 한편『조선상고사』에서 신채호는 1907년 무렵에 支那式의 演義를 본받은 비역사 비소설인『大東四千年史』를 썼으나 중단되었다고 회고하였는데,『대동역사』가 바로 이것에 해당된다. 서언에 의하면『대동역사』는 단기 4240년 즉 1907년에 쓰였다. 그렇지만 말미의 「기원연표」가 1914년까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대동역사』의 일부 내용이 朴殷植의『明臨答夫傳』(1911)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1914년까지 집필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1914년은 일단 필사 시기로 추정해 둔다. 한편『대동역사』는 한결 金允經이 1914년 여름에 구입한 필사본이다. 그리고『무애산고』는 1915년 안동에서 간행된 등사본이다. 거의 같은 시기에 복수의 독자를 염두에 둔 필사본‧등사본이 출현한 점은 당시 대종교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동역사』는 크게 1) 舊史의 비판과 新史의 제창, 2) 扶餘族 중심의 역사, 3) 연의적 성격의 서술 방식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중 1)과 2)는 이미『讀史新論』에서 제기한 바 있다. 신채호는『독사신론』을 ‘論評의 獨斷’,『대동사천년사』(=『대동역사』)를 ‘行動의 大膽’이라고 자괴한 바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전통적 역사 서술 방식에서 근대적 역사 서술 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 과도기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Recently Daedongyeoksa (Ancient History), written by Shin Chaeho, was discovered at the Korean Studies’ Library in Yonsei University. The preface of the Daedongyeoksa is the same as the preface of Daedongjeguksa in Muaesango, which has already been described. Shin Chaeho recalled in his Joseonsanggosa that he had been writing Daedongsacheonnyeonsa (=Daedongyeoksa), which was neither history nor novel, but he left it unfinished. Daedongyeoksa says it was written in 1907, the 4240th year of the Dangun Era. However, it is probable that it was completed by 1914, as a ‘Giwonyeonpyo’ (‘Chronology’) in the book ends in 1914 and some of its contents are the same as Myeonrimdapbujeon (The Story of Myeonrimdapbu, 1911) by Park Eunsik. We assume that Daedongyeoksa was transcribed in 1914. Daedongyeoksa is a handwritten transcript bought by Kim Yunkyeong in the summer of 1914. Muaesango is a mimeograph which was issued in Andong in 1915. It was probably with a result of activity by Daejongkyo (The Religion of Dangun) that the handwritten transcript and mimeograph, which were intended to have a wide audience, were brought out at the almost same time. Daedongyeoksa has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ly, it criticizes old historiography and raises a new method of writing history. Secondly, it is an historical account based on the Buyeo tribe. Lastly, it adopts fictional description. Shin Chaeho already described the two former characteristics in his article ‘Doksashinron’. He once derided himself, saying that Doksashinron was an arbitrary criticism and Daedongsacheonnyeonsa (Daedongyeoksa) was a bold undertaking. However, it could not help having a transient phase when the traditional historiography changed into the modern histor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