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아시아 역사를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유럽중심주의적 사고방식에 의해 전유되어 온 동아시아의 과거를 달리 사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은 동아시아의 과거를 탈식민화(decolonialize)하려는 작업을 사상사 연구에서 시도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 필자는 주희의 公 개념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공공성 이론의 성격을 탐구하면서 이 이론이 지니는 의미를 드러내보이고자 한다. 우선 주자학이 성립되기 이전에 전통적으로 公 개념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설명한다(Ⅰ). 그리고 주희의 주자학의 성격을 간단하게 해명하면서 그의 公 이론의 혁신성을 공생적·연계적(correlative) 공공성 이론으로 해석하고자 한다(Ⅱ). 이어서 주희의 公 이론이 주자학을 포함하여 유학의 공사관에 대해 제기된 여러 비판점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옹호될 수 있는가를 검토해 볼 것이다(Ⅲ). 마지막으로 주희의 公 이론이 위기에 처한 공공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오늘날 어떤 현재적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를 논증하고자 한다(Ⅳ).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East Asia from a novel perspective, we need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frame of reflecting on East Asia, which was appropriated by an Eurocentric perspective. The thesis aims to decolonialize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the thesis, the author will elaborate on the significance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 Theory of Publicness based on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First, the thesis will explain how the idea of "Gong"(公, public) was understood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ism (I). Second, the thesis will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and define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as a Theory of Symbiotic-Correlative Publicness (Ⅱ). Third, the thesis will discuss how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can be defended against many criticisms mounted against Neo-Confucianism and Confucius' Theory of Private and Public. Lastly, the thesis will demonstrate how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can resolve crises of Publicness today. (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