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부작용과 중국의 부상이 맞물리면서 민주주의와 유교의 관계가 다각도로 논의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송대 성리학에 기반을 둔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에 담긴 민주주의적 함의를 재구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 유교적 계몽정치의 이념과 연계하여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을 제시하고, 2) 이 문법이 갖는 민주적 함의를 오늘의 공공성 위기와 관련하여 지적한다. 이 함의를 오늘의 맥락에서 현실화할 수 있기 위해선 이 문법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이 필요한데, 이와 관련하여 3) 유교적 공적 숙의와 엘리트주의의 연관을 비판하고 4) 천리(天理), 즉 성리학적 이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의 길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서 5) 이 비판적 재구성의 경로가 유교적 사유와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 속에 유교적 계몽의 변증법이라는 형태로 담겨 있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6) 이 변증법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자유의 역설을 넘어서는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함의를 갖는지를 지적하겠다.


Recently, the negative effect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the so-called “peaceful ris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re prompting multi-pronged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more democracy', this paper explores some democratic implications inherent in the grammar of Confucian publicness. I will 1) present the grammar of Confucian publicness in relation to Confucian enlightenment politics, and 2) briefly point out the democratic implications of that grammar in relation to the current crisis in publicness. Realizing these implications in the contemporary context requires a critical reconstruction of that grammar. So I will 3) critique the association of Confucian public deliberation with elitism, and 4) show a way to critically reconstruct the Neo-Confucian concepts of reason(天理). And I will propose 5) that the potential paths from Confucian publicness to democratical publicness through this critical reconstruction could be understood as a dialectic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finally 6) explicate the significance of this dialectic in connection with the paradoxes of freedom we now 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