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문연구와 실천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온 것이 한국 근․현대 지성사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나는 이 글에서 실천운동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지성사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하려고 했다. 한글 연구자로서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한글운동에서는 누구 못지않은 활동을 벌이던 정태진에 대해 내가 주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정태진은 연희전문학교에서 스승이나 동료학생들과 몇 년 동안 같이 공부하면서 민족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초창기부터 학문과 실천을 함께 엮어 생각하는 것이 연희전문학교의 고유한 학풍이 되었는데 정태진도 이러한 학풍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한글운동가로서의 삶을 살 수 있었다. 정태진은 조선어학회 사건 이후 죽을 때까지 조선어학회 사건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죄의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글운동에 진력하는 삶을 살았다. 감옥에서 나온 이후 한글운동은 정태진에게 삶의 모든 것이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과 대한민국정부, 그리고 모교인 연희대학교 등이 관료나 교수 자리를 제안했지만 정태진은 조선어학회에서 사전을 편찬하는 일에 몰두했다. 그러면서도 한글운동과 관련된 글을 발표했고 필요하다면 대학이나 강습소에서 언어학과 한글을 가르쳤다. 조선어학회의 한글전용론을 체계화한 최초의 단행본을 내고 거기에서 현실적으로 여전히 큰 힘을 발휘하고 있던 한자폐지 반대론을 고려해 점진적 폐지론을 주장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역사비교언어학의 관점에서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방언 수집과 연구에 주목한 것도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One important feature of Korean modern intellectual history are the indispensable connections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social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we should extend the range of intellectual history. To this end, it pays attention to Jeong Taejin, an outstanding activist of the Hangul movement who did not receive special attention as a Hangeul scholar. Jeong Taejin nurtured a national consciousness in his teachers and fellow students at the Yonhee College (Chosen Christian College). The weaving together of study and practice was a unique tradition of the Yonhee College since its early days, and Jeong Taejin could live his life as an activist thanks to this tradition. Due to the liability of the Chosen Language Society case, he dedicated himself to the Hangul movement until his death to stave off feelings of guilt. Alth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ffered him a bureaucratic position or professorship after the liberation, he refused all proposals and applied himself to the compilation of a Hangul dictionary for the Chosen Language Society (Korean Language Society). All the while, he published articles about the Hangul movement and taught Hangul and linguistic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monograph in which he argued for the exclusive use of Hangul and the gradual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noteworthy. His attention to the collection of Korean dialects in terms of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was also unusual for the time and should be highly evalu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