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overall figures or a eco-political system of China that outstanding achievements have relied on is carefully coined ‘Beijing Consensus’ by political economists. The neology has been used to indicate the uniqueness of the Chinese eco-political system an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the third world against the policy suggestions for development enforced by the Western developed economies and world economic institutions. However, the initiative concept has not been formalized nor has its reality been fully analysed yet. The present paper aims to fill this gap. By reviewing the Chinese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s to contextualize in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ts urgent challenges that the Chinese socio-political system faces. It shows that the radical reform process after the mid-1990s creat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imbalances. Encountering these challenges, the Chinese leadership has taken since early 2000s a strategy to switching over to domestic consumption-led growth regime.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is requires the reform of the entire social system including social security net and income distribution system as well as economic regime.


중국경제가 그 동안 이룩한 경제적 성과에 주목하고, 이를 뒷받침한 정치경제적 독특성을 일컬어 ‘베이징 컨센서’라는 새로운 개념이 제시되었다. 지금까지 이 개념은 중국체계의 독특성을 지칭하는 협의의 용법에서 나아가, 기존의 주류 세계가 강요해 온 경제정책에 대항하는 제3세계의 반응, 그리고 그에 따른 세계 패권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개념은 아직 형상화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실체가 충분히 분석되지도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간극을 메우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은 중국의 발전전략과 과정을 분석하고 중국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도전들을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실시된 급진적 개혁방식이 내적·외적 불균형을 낳았고, 중국 당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국내소비 주도적 성장 체제로 전환하려 하고 있음을 보인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이러한 체제전환 전략은 단지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개혁을 요구하는 전략이라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