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우선 현대 방언에서 사용되고 있는 처소전치사 ‘著(着)’의 사용 양상을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처소전치사 ‘著(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역은 閩방언과 남부吳방언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는 대부분 ‘著(着)’의 처소전치사 용법과 처소동사의 용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閩방언 이외의 지역, 특히 북서부 官話방언 지역에서‘著(着)’는 오직 동사 뒤에 위치하는 처소전치사의 용법만 갖고 있다. 통시적인 발전 과정을 보면 처소전치사 ‘著’의 문법화의 기원은 ‘부착하다’ 또는 ‘부착하게 하다’라는 두 가지의 동사적 의미에서 시작되었다. ‘著’의 문법화의 통사적인 요건은 다른 동사와 함께출현하고 또한 처소논항과 직접 결합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요건을 갖추게 하는 계기는바로 방위사의 대량 사용과 처소 범주의 확립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처소전치사 著의문법화의 경로는 다양하다. 본고에서 ‘動補’구조와 ‘狀中’구조의 형성 규칙, 전치사의 형성 원리, 그리고 유추, 추론, 재분석 및 일반화 등 문법화 기제를 근거하여 ‘著’의 문법화의 경로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동사 뒤에 위치하는 동사 ‘著’는 세 가지 경로로, 동사 앞에 위치하는 동사 ‘著’는 두 가지 경로로 문법화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처소전치사 ‘著’의출현과 발전의 시기에 관하여 본고에서 東漢 시기를 출현의 시기로, 魏晉南北朝 시기를발전의 시기로, 唐五代 시기를 성숙의 시기로, 宋元 이후의 시기를 쇠퇴의 시기로 여겼다. 그러나 처소전치사 ‘著’의 쇠퇴 현상은 통어의 기초 방언이 전환됐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일 뿐 처소전치사 ‘著’가 이미 언어에서 소실된 것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 현대방언은 이것을 증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