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유대이론은 최근 다문화 되어가고 있는 사회에서의 여러 가지 부작용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있어 영향력이 있는 이론으로서 국내외에서 그동안 많은 경험적 연구가 있어 왔다. 따라서 이 논문은 사회유대이론에 기반하고 있는 여러 사회유대 요소들에 해당되는 변수들을 사용하여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을 설명하고, 사회유대이론의 적실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의 원인과 관련하여 사회유대관계정도 즉 허쉬가 제시한 애착, 전념, 참여, 신념 등의 변수들과 가정폭력발생 위험성간의 인과관계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들이 발견되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분석결과는 사회유대요소들이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 전념, 참여, 신념이 높을수록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은 적었으며,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변인 중 연령, 직업, 한국어 실력, 경제적 수준, 거주지역, 출생국에 있어 가정폭력발생 위험성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의 사회유대정도에 따라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re has been a lot of experimental studies on social bonding over domestic and foreign because it is an influencing theory explaining the cause of several side effects in the society becoming multi-cultural recently. Therefore, we are going to explain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in multi-cultural family by using related variables on several social tie factors, which are based on social connectedness theory, and verificate the relevance of social connectedness theory. And we tried to find the differences in social tie strength, that is,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attachment, commitment, involvement and belief that are presented by Hursh and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in connection with the cause of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in multi-cultural famil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social tie factors have direct influence in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The higher attachment, commitment, involvement and belief is, the less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it has. And it is revealed that belief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Also it is ascertained that ages, jobs, korean skills, economic status, residential areas and country of birth among the variabl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Therefore, we found the danger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depends on the social tie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