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2004, 2009, 및 2014년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자들의 사용 목적과 각각의 목적에 소비된 시간량을 비교, 분석한다. 동일한 기술적 도구에 대한 인식 및 사용방식은 개인에 따라 그리고 집단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이것은 인터넷과 같이 다양한, 심지어 서로 모순된 욕구들을 충족시키는데 모두 유용한 범용기술일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특히 인터넷 사용을 “교제” 목적의 사용과 “정보검색” 목적의 사용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인구통계적 및 사회적 변수들이 이 두 가지 목적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한다. 여가시간 동안의 인터넷 사용을 분석한 결과 정보검색 시간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교제/소통 시간은 2009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과 연관되어 있는 듯하다. 온라인 교제가 많을수록 전화교제도많은 것으로 보아 교제 및 소통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정보검색만 하는 사람들에 비해 사회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새로운 기술이 기존의 격차를 완화하기 보다는 오히려 확대시킨다는 이른바 매튜 효과(Matthew effect)를 의미한다. 또한 정보검색과 교제/소통 시간이 서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즉 이 두 가지 목적이 상보적이라기보다는 서로 배타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는 인터넷이 모두가 동의하는 단일한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의미, 즉 해석적 유연성이 존재함을 암시하고 있다. 동시에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젊고 사회활동이 많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교제 및 소통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남성,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 그리고 유배우자 등은 상대적으로 정보검색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he time use data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in 2004, 2009, and 2014, this study examines the purposes of usage and the time devoted among Internet users. The way that a technological device is perceived and consumed can differ across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and this is more so in the case of the Internet, a general-purpose technology that helps satisfy diverse or even contradictory demand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ivides the purposes into “socializing” and “information search,” and longitudinally investigates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of users. Analyzing the Internet use during discretionary time, I find that the share of the time devoted to information search had been declining over the years, whereas the share for socializing had been growing fast, particularly after 2009. This may have to do with the rapid diffusion of smartphones. The more time one spends on socializing online, the more time talking on the phone, which indicates that sociability affects how to use the Internet. This supports the so-called Matthew effect: the new technology rather widens than narrows down, the already existing gap in sociability.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time on socializing has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time on information search; that is, these two online activities are competing rather than complementary.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single agreement, and thus the presence of interpretative flexibility, as to what the Internet is for. There is a tendency that women and the young and the socially active use the Internet relatively more for socializing than for information-searching, whereas men, the more educated, and the married use it more for information-sear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