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음악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사의 소통 유형을 알아본 다음, 어떤 소통 유형이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학습 효과와 학교생활 적응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예술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소통 유형과 학습 효과 개념은 음악 교육이라는 특수한 성격이 반영될 때 일반 교육 현장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 소통 유형의 경우, 경청 태도와 의사전달 태도에 따라 4개가 아닌 ‘긍정적 소통(수용적 경청 및 촉구적 의사 전달)’과 ‘부정적 소통(비수용적 경청 및 명령적 의사 전달)’의 2개 유형으로 대별되고 있었다. 학습 효과도 예상과는 달리 인지, 정서, 행동의 3개 차원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으며, 특히 정서적 차원의 학습 효과는 행동적 차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소통 유형에 대한 인식에 따라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학습 효과, 학교 생활 적응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교사가 수용적인 경청과 촉구적인 의사전달을 한다고 인지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교사와의 소통에 있어 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강의의 성격과 상관없이 존재하고 있었다. 학습 효과의 경우,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에서 교사가 경청하는 자세와 더불어 덜 명령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때 전반적인 학습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사와의 소통에 만족할수록 학습 효과가 높으며, 특히 인지, 행동적인 측면보다는 정서적인 측면의 학습 효과가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학교생활 적응도에서는 강의의 성격에 따라서 엇갈리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악 교육에서 교사의 소통 유형과 학습효과를 일반 교육 현장과는 다르게 접근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communication styles, communication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and school adoption.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se variables was carried out on 216 music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styles and learning outcomes were different to the ones of general education schools. Teacher’s communication style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positive and negative communication, contrasting to the four types founded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general education schools. In the same manner, learning outcome was differentiated into two levels, cognitive and affective/behavioral ones. Students reported higher degre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and school adoption when the teachers’ communication style was positive types, e. g. receptive listening and encouraging opinion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ctur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n schools’ authorita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se results impli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open-minded and positive communication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