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포드재단은 연구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아세아문제연구소, 근대사연구소와 문화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으며, 두 연구소는 이를 계기로 중국근대사연구를 본격화하는 등 연구 활동의 전기를 맞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은 근대화론으로 대표되는 냉전의 지적 패러다임과 그에 입각한 페어뱅크의 ‘충격-반응론’의 두 연구소로의 본격적인 유입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냉전의 지적 패러다임은 양 연구소 연구진이 가지고 있었던 근대사관과 근대화 이해 그리고 민족의 근대화에 대한 강한 열망 등과 맞물림으로써 수용되고 확산될 수 있었다. 수용된 관점과 논리들은 두 연구소 연구진에게 중국근대화 내지는 근대사를 보는 관점을 제공했으며, 이들 연구진들은 이러한 논리와 관점에 기대어 중국근현대사를 연구했고 체계화시켜 나아갔다. 냉전지식으로서의 중국근현대사가 포드재단과의 문화적 관계를 통해 형성되어 갔던 것이다. 양국의 중국근현대사학계에서 표출된 냉전의 지적 패러다임의 수용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태도는 물론, 포드재단과의 문화적 관계의 구축에 따라 형성된 냉전지식이 동아시아의 냉전구도의 동요와 균열에 따라 어떻게 변형되고 변화되었는지 하는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탐색은 차후의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As the Ford Foundation carried out long-term research support projects for the Asiatic Research Institute and the Institute of Modern History, the Foundation was able to establish cultural relationships with these research institutes. By establishing these relationships, these research institutes could reach a milestone for academic development. However, this development assumed a knowledge paradigm of the Cold War, which was represented by modernization theory, and the full-scale inflow and spread of Fairbank’s “Impact-Response theory” based on the paradigm. The knowledge paradigm could be broadly accepted and spread by being interlinked with the existing modern history theories, the perception of modernization, and strong desires for national modernization that researchers at the two research institutes had. The researchers studied and systemized modern Chinese history while relying on these logics and viewpoints. The emergence of modern Chinese history as knowledge of the Cold War in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is considered fairly meaningful in terms of the formation and continuance of the Cold War in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