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의 학교란 ‘읽고 쓰는 능력’,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근대적 지식을 습득하는 곳이고, 그러한 문자 교육이 결국 ‘모국어’를 기반으로 한 것, 근대적 민족 혹은 국가 개념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는 점에서 근대 학교교육은 궁극적으로 ‘국민’을 길러내고 근대적 국가의 체제를 재생산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여기에서 식민지 시대 학교교육의 모순이 발생하는데, ‘모국어’를 ‘국어’로 학습할 수 없었던 식민지 상황, 게다가 여성교육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도권 교육의 무관심으로 인해 기독교계 교육이 중심이 되면서 영어독본이 주된 학습내용이 되었던 아니러니칼한 상황은 식민지 시기 학교체험과 여성교육의 중층적 성격에 주의를 기울이게끔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제도권 근대교육에 대한 여성들 스스로의 입장은 어떠했는가. 이를 1920년대 이후 새로운 사회적 존재로 부각된 여학생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여학생들은 1920년대 이후 사회적 문화적 코드의 하나로 인식되었던 ‘신여성’의 중요한 한 축이었다. 그러나 1920~30년대 여학생들은 동시대에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던 신문 잡지 및 출판시장 등 대중문화의 향수층으로 주로 위치지워졌는데, 이 시기부터 이미 대중문화와 여성과의 친연성이 공식화되어 언표되었다. 예컨대 1920년대 여학생들의 연애소설 등에 대한 감상적 문예취향은 여성독자에 대한 계몽담론을 쉽게 용인해주는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 여학생, 여성 지식인들은 근대 식민지 학교교육과 자신들의 모순적인 관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고, 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에 따른 여성운동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른바 사회주의 여성들이 그들이다. 이러한 여성 주체의 의식적인 활동의 장으로 특히 독서의 영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독서의 행위는 제도권 교육과 함께 공존하면서 개인의 자율적 영역에 속하는 장이자 독서회의 경우에서처럼 제도권 교육의 영역을 넘어서 존재하는 집단적인 차원의 영역을 구성하기도 한다. 식민지 시기 교육받은 급진적인 여성들이 자유연애나 붉은 연애와 같이 파격적인 삶을 선택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독서에 의한 학습과 의식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전문학교 이상 여학생들의 독서목록이나 독후감 등의 자료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 modern school is a place where people is to get a modern knowledge with the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a letter’. Considering such an education is based on their mother tongue, fundamental notion of modern race or nation, the ultimate goal in a modern school is to raise good sense of people and to reproduce a modern system of a nation. At this point, the contradiction of school education in colonial-era was made. The colonial era school experience and the complex aspect of education for women were noteworthy because of the situation; the colonial circumstance of not being able to study mother tongue as national language and ironical situation of studying mainly the English text book since the major part of the education for women was christian-oriented. The stand point of the women for the modern national education system was studied by the school girls who became a social existence of the 1920s and were recognized a part of 'New Women'. But the school girls of 1920s to 1930s were positioned to th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of news papers and publishing market which were spreaded widely at that time. From that time, alread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popular culture, such as romances, books of love letters and so on, was generally accepted. But school girls and intelligent women in colonial-era had recognized definitely the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had leaded the movement of feminism based on socialism in the middle of 1920s. They were the so-called ‘socialist women’. The reading had a important role in the conscious activities of female subject and has been consist of the collective field which existed beyond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such as the reading club. The radical women educated in colonial-era had choose the irregular life like ‘love and marriage’, ‘socialist love’ due to the conscious process and study by the means of ‘reading’. It can be conformed concretely through the reading list and the book review of women whose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than college-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