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 우리는 근대 초기 잡지, 특히『청춘』과『개벽』에 실린 서적 광고를 통해 근대가 어떻게 개인과 사회에 내면화 되어갔는지를 확인하였다. 근대 초기 잡지에 실린 서적 광고는 단순히 상품 광고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상품으로서의 서적이 갖는 특수성에서 기인하는 데, 서적은 단순히 소비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에게는 생산을 돕는 매체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출판은 '민족 자강과 계몽의 열정'의 의해 이루어졌고, 그 광고의 내용에도 다른 광고가 따르지 못하는 절실함과 의지가 담겨 있었다. 본론에서 우리는『청춘』과『개벽』에 실린 서적 광고를 분석하였다. 우선 각각의 잡지에 실린 서적 광고물들의 현황을 통계를 통해 정리하고 그 통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서적광고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주로『개벽』에 실린 위인전과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그들이 추구한 근대(혹은 근대사상)가 무엇이었는가를 확인해 보았다. 근대 초기 서적광고는 상품이며 동시에 계몽의 수단이었던 서적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이 시기 저자들은 독자와 동등한 자리에 서 있다기 보다는 독자를 이끌어야 하는 의무와 책임을 져야 하는 자리에 있었다. 서적 광고의 경우도 서적에서의 저자와 독자 관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책을 팔아야 하는 광고주와 책을 사고자 하는 구매자의 관계는 단순히 상품을 사이에 둔 교환자 이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광고주는 자신의 책을 사야 하는 이유는 독자의 필요에서 찾았고 많은 경우 독자의 필요는 사회 혹은 민족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여러 가지 중에 선택할 수 있는 하나로서 자신의 서적을 광고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필요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으로 서적의 구매가 강조되곤 하였다. 서적 광고는 서적을 통해 설명되었을 계몽적 사상을 앞서서 혹은 뒤에 서서 독자들에게 강조했다. 이들이 강조한 내용들에는 받아들여야 할 근대 외에도 설계하고 이끌어 가야 할 근대의 모습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잡지의 서적 광고가 가지고 있는 이런 혼합과 혼란이 당시 우리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비추어주는 하나의 거울이 될 수도 있다.


We confirmed that how the modernity had been internalized into the individuals and the society through the early modern magazine, especially the book advertisement of Chungchoon[The Youth] and Gaebyuk[The Creation] in this paper. The book advertisements in the early modern magazinesmeant beyond the product advertisement because the book as products has specificities. In other words, the books are not simply consumed but are the mediators which can help readers' production. We analyzed the book advertisements of Chungchoon[The Youth] and Gaebyuk [The Creation]. We also made statistics of the book advertisements to see the aspects. We tried to check out what the modern thought that they pursued through the hero's biographies and the magazine advertisements of Gaebyuk[The Creation]. The early modern book advertisements directly reflect the books'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products as well as the way of enlightenment. The authors' position at that time lied in the leading readers rather than the parallel one with rea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tisers who should sell the books and the buyers who want to buy books seemed beyond the exchangers who just exchange products. The advertisers emphasized the buying books for the readers' needs while it was explained in most cases that the readers' needs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ociety or the nation. The book advertisements delivered and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thought leading readers. The highlighted contents in cluded various modern aspects which are mandatory modernity and the modern figures that should plan and lead. The juxtapositions and the confusions that magazine book advertisements had may have shown realistically the aspects of the society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