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전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문학 장이 어떻게 재편되는가를 거시적으로 조망하고 이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문학예술의 존재 의미를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전후의 문화적 환경은 정치경제적 조건의 규정을 받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그것으로 환원이 불가능한 상대적 자율성을 지니는 가운데 창조적 변혁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여러 징후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국가의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전개된 출판, 매체, 검열, 문단, 아카데미즘의 성립 또는 재편성은 전후 문학 장의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이었으며 그 변화의 진폭 속에서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대립과 충돌이 격렬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잡지 문학예술은 이와 같은 변전의 과정에 존재했으며, 그 변화가 긍정적으로 작동하는데 일익을 담당했다. 월남문학예술인들의 신념화된 반공주의가 저변을 형성했지만 그들 특유의 문화주의 이념지향으로 말미암아 문화 전반의 영역을 아우르고 외국문화에 대한 전폭적인 수용이 가능했다. 그리고 이를 매개로 문화제도권 밖에서 활발하게 개진되고 있던 현대성을 갖춘 새로운 문학을 제도권 안으로 진입시키는 매체적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추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외국문학전공자들을 대거 수렴하고, 번역문학의 문화적 기반을 마련한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요컨대 문학예술은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정에서 문화주의 이념을 통해 선진 서구문화예술의 수용과 이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교양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문학잡지였다.


The paper is focusing on taking a broad view of how literature field was reorganized in post-war sociocultural context and considering what the magazine Munhakyesul, which is inseparable from literature field, meant in its existence. Although regulated by political and economical conditions, post-war cultural environment had several signs that show possibility of creative changes, having relative autonomy. Publication, media, censorship, literary circle, 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of aca- demism, which were done by national literary policy, were the factors that drove literature field to be changed. As a result, it was inevitable new and old literature opposed and conflicted each other in that process. The magazine Munhakyesul exist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a- tions mentioned above and played important roles in making changes to work positively. Although anti-communism believed by cross the 38th parallel line literature man formed base line of Munhakyesul, their special idea direction made it possible to join overall parts of literature together and actively accept foreign cultures. And this played great roles in having new modern literature, originally being out of culture system, existed in culture system.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Munhakyesulaccepted hosts of foreign literature experts by actively using the system called ‘Chucheonje’ and made foundation of transla- tion literature. In short, Munhakyesulwas the literature magazine that played critical roles in accepting advanced foreign cultures by means of culturism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post-war literature field and formed cultural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