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근대계몽기에도 여전히 그 소설사적 위상이 빛나고 있었던 전(傳) 양식과 그것의 근대적 수용의 문제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특히, 황성신문에 191회에 걸쳐 연재된 神斷公案의 연작 일곱 편, 그 중에서도 전래하는 설화를 전(傳)의 형식에 담아 창작한 제4화(김봉본전)와 제7화(어복손전)의 문학적 위상을 검토하는 것은 이 시기 전(傳)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두 작품은 근대계몽기에 이르러 전대(前代)의 전(傳) 양식이 보여주고 있는 자태(自態) 전환의 과정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이 두 작품에서는 근대적 가치, 곧 평등의 가치가 왜 중요한 것인지를 봉이와 어복손을 통해서 예각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 시기의 중요한 문학적 수확임에 틀림없었다. 결론적으로 神斷公案제 4화와 제7화가 중요한 문학사적 평가를 받을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이 두 작품이 조선 후기 한문 단편이나 전(傳)의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새로운 근대적 가치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modern accommodation of a “Chn," an antique form of a biographical prose, which was still much used in literary field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o inves- tigate the characteristic of a “Chn"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I focused on the seven serial works of “Sindan Gongan" published on the newspaper “Hwangsng." Especially, I closely examined “Kimbong- bonchn", the forth work, and “Ôboksnchn," the seventh work. These two works we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reveale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a “Chn" of the previous period into the Korean Enlighten- ment period. In these two works, why the modern value of equality was important was sharply demonstrated by the two protagonists Bongi and Ôboksn, thus the two works were worth to be recorded as valuable literary outcomes of the period. The reason these two works were highly evaluated was that these two works, on one h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a short pros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r a Chn of the late Chosun period, and on the other hand, comprehended new modern value of 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