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0년의 4·19와 1961년의 5·16-지금껏 이 두 사건 사이의 관련은 4·19로 집결된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자주와 통일에 대한 모색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을 무렵 5·16 쿠데타가 그런 다중의 노력을 압살시켜 버렸다는 서사로 이해되어 왔다. ‘혁명’ 대 ‘반혁명’이라는 수사가 적절하게 대응될 법 관계였다고 하겠다. 1960~70년대의 역사 전반을 평가할 때라면 이런 평가는 대체로 수긍할 법하다. 그러나 당대, 4·19와 5·16을 눈앞의 사건으로 맞이했던 1960년대 초반의 감각을 직접 상대한다면 어떠할까?4·19라는 사건의 실제부터 문제될 법하다. 4·19의 주역은 대학생-지식인이라는 것이 널리 알려진 신화이지만, ‘다비데’요 ‘젊은 사자들’로 불린 이들은 실상 사건의 마지막 국면에서야 등장했다. 사건 초기의 주역은 고등학생이었고, 폭력적 진압에 맞서 4·19의 열기를 지속시킨 이들은 넝마주이·구두닦이나 기능직 노동자 등 도시의 하위주체들이었으며, 대학생 집단은 오히려 이승만의 하야성명 이후 사태가 계속 확산될 가능성을 차단하는 데 주력했다. 그럼에도 고대생 데모나 교수단 시위 등의 사건을 흡수하며 탄생한 대학생-지식인 신화는 이후 이들을 선도적 주체, 지도자적 주체로 만들었고, 4·19 이후 1년여의 모색 혹은 혼란의 시기를 거쳐 개발독재라는 새로운 체제에 접어들었을 때 대중이 ‘빵’과 ‘성장’의 약속에 취해 체제와 타협했을 때 지식인만은 ‘자유’ 즉 개인적·민족적 ‘자주’를 지켰다는 인식론적 분할을 가능케 했다. 실상 모든 혁명의 화두라 할 ‘자유’와 ‘빵’이 대립적인 가치로 인식되었다는 것은 4·19 직후 1960년대 초반의 전반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자유’는 포식해 보았으니 ‘빵’에 주력하자는 대중적 분위기 속에서 ‘선의의 독재’며 ‘민주주의의 유예’며 ‘강력한 지도자’ 등이 논의되는 가운데 5·16 쿠데타는 그런 기대-우려를 현실화시킨 사건으로서 출현했다. 당연히 5·16 직후의 대중적 반응은 기대와 공포가 섞인 긴장된 것으로서, 그러한 긴장상태 속에서 쿠데타세력은 ‘세대교체’와 ‘민족적 민주주의’ 등을 통해 강력한 개발독재체제를 준비할 수 있었다. ‘빵’과 ‘성장’의 논리를 ‘민족’을 통해 전유하는 것이 1960년대 개발독재정권의 요체였으며, 이러한 명분 뒤에 도사리고 있는 폭력과 종속의 가능성이 뚜렷해질 때까지 민족의 성장을 이끄는 젊은 가부장이라는 서사는 적잖은 대중적 지지 기반을 획득할 수 있었다.


April uprising is a bifurcating point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yet its actual faces have been befogged for last 50 years. Mythical glorification has substituted the actual living faces of April uprising, and the antagonist opposition to May 16 coup-d'état paradoxically reinforced its halo effect. April uprising and May 16 coup-d'état have been allocated to the binary term of freedom and repression respectively,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has been limited to one of the underground dwellers who can hardly enjoy the sunlight of the legitimate regime. However, April uprising and May 16 coup-d'état are interwoven at the level of unconscious desire, and their relationship is expressed through the rhetoric of freedom and bread. Freedom, which had overwhelmed 1950s', was focalized in the experience of April uprising, then soon marginalized for 1 year after uprising. There appeared the phrases such as ‘freedom without bread’, ‘lack of qualification for democracy’, or ‘strong leadership’ and ‘good-willed dictatorship’, which the junta of coup-d'état welcomed and appealed to. The expectation for ‘young and strong patriarch’ was widely expressed even in a variety of popular narratives, and the desire to forget the history as a colony of 1910~45, of division and war of 1945~53 altogether has grown among the people. Covert and overt desire for ‘bread more than freedom’, ‘economic development more than democracy’ had not been canceled until the government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disclosed and reinforced its violent suppression; people was ready to withdraw their hasty supports when they discover that their developed sensibility of socio-cultural freedom could not coexist with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