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이제까지 기존연구에서 등한시해온 재경(在京)일본인이 경성이라는 장소에 어떻게 동일화하고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했는지에 관해 주목한 것이다. 그 대상 시기는 1910년 한일합방을 전후로 삼았다. 그 시기에 그들은 조선을 대표하는 ‘식민지의 수부’인 경성에 거주하기 시작하며 그곳의 원주민인 타자의 역사성을 무시하고 자기들 삶의 역사성을 우위로 두고 새롭게 경성을 구성하려 하였다. 그러면서 내지인과는 차별화된 자기를 구성하려는 동시에 일본인의 동일자(同一者)로서 자기를 인식하는 이중적 위치에 서 있었다. 그러한 이중적 위치는 오히려 식민지 경영의 사명감을 더욱 충만케 한 측면도 있었다. ‘영웅주의’에서 ‘범인주의’로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경성 거류민단의 정치투쟁사를 기술한 『경성발달사』(1912)에서 알 수 있듯이, “명실 공히 조선의 일본이 아니라 일본의 조선으로 바꿔가는” 상황에서 재경일본인들의 ‘경성’ 표상에는 좀더 구체적인 자기동일화의 욕망이 투사되어갔다. 그것은 대개 노스텔지아적인 충동에 기반한 ‘경성의 자기화’라는 정서의 폭력을 동반하기도 했다. 또한 그런 경성에 대한 자기동일화는 전통적 방위 감각을 해체하는 방식과 ‘재경’ 일본인의 기원을 역사적으로 소급하여 ‘현재’에 동일화하는 방식을 통해 이뤄지기도 했다. 이러한 레토릭은 일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조선인 거주지와 이분하는 시선과 함께 당시 그들의 아이덴티티 구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동하고 있었다.


This paper is what paid attention to how Japanese residents in Keijo made them identified with a place called Keijo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y, which has been neglected so far in the existing researches. The target period was set to the time before and after Chosen-Japan annexation in 1910. In that period, they began to dwell in Keijo where is 'a capital of colony' of standing for Chosen, was indifferent to the historicity of others, who are natives there, and tried to newly form Keijo with giving priority to the historicity of their life. In the meantime, they had stood in the ambivalent position of recognizing self as the Same(同一者) in Japanese, as well as aiming to form the differentiated self from Japanese people who reside in Naichi(内地). Such ambivalent position had an aspect that allowed a sense of mission for colonial management to be rather filled further. As having been able to be known in 『History of development in Keijo(京城發達史』_1912), which described the history of political struggle in the settlement corporation in Keijo from the perspective called a change into 'subjectivism' from 'heroism,' a desire for the more specific self-identification proceeded with being projected in the representation of ‘Keijo’ in Japanese residents in Keijo, in a situation of "being changed both nominally and virtually into Chosen in Japan, not Japan in Chosen." That was ever accompanied by emotional violence called 'self-identification in Keijo' mostly based on nostalgic impulse. Also, such self-identification with Keijo was ever formed through a method of dissolving traditional sense of direction on such Keijo and a method of identifying with 'the present' by being historically retroactive to the origin in Japanese people of 'residing in Keijo'. This rhetoric was functioning as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their identity at that time, along with a sight of dividing into a dwelling place of Chosen people centering on a dwelling place of Japanes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