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식민지 시대 일본어글쓰기의 위상과 의미를, 1934년~1943년까지 『삼천리』, 『경성일보』, 『국민문학』의 조선문학 및 일본어글쓰기에 관한 좌담회를 대상으로, 식민지 이중언어 체계와 자본주의적 근대문학제도라는 문제틀 속에서 태평양 전쟁 이전과 이후와의 내적 연속성의 관점을 견지하며 살펴보았다. 입론적 개괄로서의 2장에서 식민지 시대 문학제도를, 식민지 이중언어체계라는 국가적 축과 근대문학제도라는 자본주의 문화제도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문화정치의 시기를 통해 신문과 잡지 등의 미디어와 출판시장, 가격이 책정된 상품으로서의 책, 독서공중의 존재, 1926년부터 시작된 라디오 방송, 영화, 문화상품으로서의 대중잡지 등 다른 문화상품들 과 경쟁하는 콘테츠로서의 자본주의 문화상품 및 근대문학제도로서 성장해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2차교육령기(1922-1937) 조선어 학교교육의 실시, 민간에서의 문화적 경로를 통한 언어 및 문학 교육 재생산, 그리고 치안유지법과 검열, 카프의 해산 등에서 보듯이, 국가권력의 유동적`상시적 개입을 통해 문학제도 구성의 한축으로서의 국가적 차원을 상정할 수 있다고 논했다. 그래서 식민지 이중언어체계하 1922~1938까지 약 15~20년의 시간은 한편에서는 자본주의 근대문학제도로서 한글로 쓰어진 조선문학이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온 시간이지만, 다른 한편 국가적 축에서는, 식민지 이중언체계가 유동적으로 허용한 조선어문학장 내에 구속된 채 점층적으로 공공어와 일상어의 분리, 고급어와 저급어의 분리, 독서시장에서 일본어 독자층`일본어 출판물의 지속적 성장이 이루어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선 식민지 내부의 ‘자본주의/국가’ 양축의 절합체는, 조선 외부적으로 지배국가(일본)축과 일본자본의 축에 의해 규정`지배되면서 작동해온 것임을 언급했다. 이런 입론하에, 3장에서 문화통치시기(2차교육령기) 일본어글쓰기에 대응하는 조선인 문인지식인들의 『삼천리』(34-36년) 좌담회를, 4장에서 3차교육령기(1938년) 일본어글쓰기에 대한 『경성일보』 좌담회를, 5장에서 태평양전쟁기~4차교육령 개정까지의 1940년대 『국민문학』, 『삼천리』 좌담회를, 언어선택을 둘러싼 국가와 시장의 제도적 규약지점이 어떻게 변동되고 지속되는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3장에서, 문화통치시기인 2차교육령기(1922~1937)의 『삼천리』좌담회(34년~36년)를 통해, 장혁주가 제공한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어(국어)문단 신진진출’이라는 사건에 반응하는 이 시기 조선어문학장의 대응방식을 분석했다. 장혁주의 식민지배국 진출(국어권 진출)을 미국` 프랑스와 같은 해외진출과 동렬화하고, 그것은 조선문학이 아니다라는 조선어 순혈주의로 배제하는 조선문학 정의의 내부적인 지점을 논했다. 그러나 이는 외부적 시각에서 보면, 이 장혁주 사건은 1922년부터 지속된 2차 신교육령시기 식민지 이중언어체계하에서, 일본 측의 출판자본의 시장개척 요구, 언어적으로 균질화된 더 넓은 시장의 필요성, 그것을 위한 미디어의 개방, 그리고 그것을 위한 언어일원화, 증가해가는 국어권 독자(=국어권 국민)의 존재라는 상황이 결합된 결과임을 논했다. 4장에서 조선어가 선택과목화 되고, 조선인 지원병제가 실시되는 3차교육령기를 『경성일보』 좌담회를 통해 살펴보았다. 조선적 본질주의와 일어로의 번역불가능성을 주장하는 조선문인과 ‘합리적 근대=먹고사는 자율성’으로 위계화된 일본문인간의 좌담회에서, 일본어글쓰기가 설득되고 공략되는 지점은, 근대성의 발전주의, 합리적 근대=먹고사는 자율성이라고 보았다. 일본어로 글을 쓰면, ‘일어권 독자시장이라는 자율성의 제도’를 통해, 그리고 그 독자시장에서 승부를 겨룰 수 있는 ‘개인적 능력’을 통해, (미적=대중적) 보상을 약속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5장에서는 전쟁기인 1940년대 『국민문학』 좌담회를 중심으로 한글매체의 폐간과 단일언어가 결정되어가는 상황에서, 일본의 작가, 정책결정권자 등에게 번역국이나 정책입안에서의 문학자의 지위 보장, 수상제도 등을 요구하는 차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조선붐, 그리고 전쟁말기 남방공영권 부상을 기점으로 과학, 토키, 방송 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확대될 일본어 시장에 대한 기대와 거기서의 조선인의 기득권을 전망하는 지점을 논했다. 이 좌담회를 시기별`매체별로 나눈 각각의 장 내부에서는, 1) 좌담회 담론분석을 통해 식민지 조선 민족어문학장 내에서 시장 및 국가가 절합되는 차원, 2) 이 ‘식민지 내 시장`국가절합체’ 외부(일본측 국가와 자본)에서 그 내부를 규정하는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 시기별(2차교육령기 문화통치기, 3차교육령기, 40년대 전쟁기) 진행방향은 결국 1) 식민지 이중언어체계로부터 단일언어화되어가는 국가(식민지정책`전쟁)의 변화와 2) 그것과 상보적으로 이해와 요구를 같이하는 자본(시장)의 변화가 맞물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0-30년대 15-20년의 시간은 식민지 이중언어상황의 진행과 문학제도의 자본주의적 진행간의 결합을 통해 성장한 역사이다. 그래서 일제말기를 단지 전쟁 자체만으로, 그 전쟁이 만들어낸 역사적 단절을 극화하는 것만으로는, 두 개의 양축을 통해 작동된 문학제도의 실체성도, 이 양축이 결합되며 작동하는 일제말기 외적 강제의 내적 작동방식도 도외시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문학·문단의 자본주의 근대화과정과 식민지 이중언어상황이 내재적으로 결탁된 바로 그 지점에서, 국가의 외적강제가 자본주의적 근대화라는 내적지점을 통해 관철`승인된 것이 일제말기 '고쿠고(國語)글쓰기'(일본어글쓰기)였다는 것이다.


Targeting the symposiums of 『Samcheonri』, 『Kyungsungilbo』 and 『Kukminmunhak』 over Joseon literature and Japanese writing from 1934 to 1943,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tatus and meaning of Japanese writing in the colonial era by analyzing the bilingual language system in the colonial era and the capitalistic modern literary institution before and after the Pacific War, from the perspective of inner continuity. In chapter 2 an argumentative summary, the literary institution in the colonial era was considered to consist of two axes; the bilingual language system of the colonial age and the capitalistic modern literary institution. Capitalistic cultural goods and modern literary institution have been developed as contents to compete with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publishing market, books as priced commodities, reading public, popular magazines as radio broadcasting, film and cultural goods launched in 1926, during the period of cultural politics. Also, the implementation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school during the 2nd educational law period(1922-1937), reproduction of language and literary education through cultural channels in the private sector, the Peace Preservation Law, censorship and dispersion of KAPF demonstrate that they made a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institution on a national level, through fluid and regular intervention of state power. As a capitalistic modern literary institution, Joseon literature written in Hangul had made remarkable advance for nearly 15~20 years from 1922~1938, under the bilingual system of the colonial age, but from the national point of view, this was also when public language and high-level language were separate from ordinary language and low-level language by gradation, and Japanese readers and publications constantly developed in the reading market, while it was repressed in the Joseon language literary field that was fluidly allowed by the bilingual system of the colonial age. Moreover, it was mentioned that the articulation of two axes; 'capitalism/state' in the colonial era developed, being regulated and ruled by the ruling nation(Japan) and Japanese capital. Based on this argumentation, chapter 3 analyzed the 『Samcheonri』(1934~1936) symposium of Joseon literary intellectuals who stood against Japanese writing during the cultural ruling period(the 2nd educational law period), chapter 4 analyzed the 『Kyungsungilbo』 symposium on Japanese writing during the 3rd educational law period(1938), and chapter 5 analyzed the 『Kukminmunhak』 and 『Samcheonri』 symposiums of the 1940s from the Pacific War to the 4th educational law revision, in order to see how the institutional regulations in the country and market over language selection changed and lasted. After classifying these symposiums according to each period and medium, each chapter examined 1) the articulation of the market and state in the Joseon language literary field of the colonial era through discourse analysis of symposiums, and 2) the regulation by the 'articulation of the market and state in the colonial era'. During the three periods(the 2nd educational law period and cultural ruling period, the 3rd educational law period, and the war period of the 40s), 1) the country(colonial policy and war)'s bilingual system in the colonial era changed into the monolingual system, and 2) it led to the change of the capital(market) which was in a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his, in the end. The 'writing subjects of Joseon' yielded by the process of modern literary institutionalization within this 'articulation of the market and state in the colonial era' were regulated, being bound by the literary field that was multiply affected by the regulations of the capital and state like desire for good writings to build literary career and win prize, readers and the conditions of the publishing market, the existence of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rights for their continuation and abolition, and language required by media, while trying to accomplish and realize individual desires for writing.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individuals in the field were ruled by modern codes like individual ability, decision and choice and individual compensation for that. These modern-capitalistic codes constantly ruled individuals in the field, through individual spontaneity, that is, free choice and compensation for that, regulating the 'fiel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in combination with the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