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895년 11월(음력)에 간행된 『小學讀本』에 대한 연구이다. 이 책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근대화의 흐름이 본격화된 시점에서 간행된 전근대적인 내용의 교과서라는 점이다. 최초의 근대 교과서로 평가되는 『국민소학독본』(1895)을 비롯한 『신정심상소학』 등 학부 간행 교과서 거의 대부분이 근대 지식과 정보, 서구 사회에 대한 동경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면, 유독 이 『소학독본』만이 전통적인 유교의 덕목을 중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기존 연구에서는 이 『소학독본』을 한문 학습이 더 강화되고, 선정된 제재들이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엮어져서 흡사 중세의 경전 학습서와 같고, 개화에 역행하는 인상을 준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필자는 『소학독본』이 당대 교육사의 맥락에서 낡고 전근대적인 교재가 아니라 당대 개화파의 현실적 필요에 의해 구성된 근대적 교재라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한문이 국한혼용체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아직도 여전히 전통적인 한학 위주의 사고에 젖어 있던 지배층을 대상으로 시대적 과제와 임무를 교육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교재라는 것. 그것은 교재의 구성과 내용이 이전의 그것과는 다른 근대적인 의도와 기획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책명에 근대적 용어인 ‘독본(讀本, the reader)’이라는 말을 덧붙인 것이나, 재래의 『小學』(주희)과는 달리 당대 현실에 맞는 실용과 치세(治世)를 내용으로 본문을 구성한 점, 인용되는 인물들이 중국의 성현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성현들이라는 점, 과거제도를 비판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권하는 내용 등에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근대적 의도를 목격할 수 있는 까닭이다. 그리고, 한문체에서 벗어나 한주국종체로 서술된 문체 역시 사대부층의 기호를 고려하면서 근대적 현실에 맞게 변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소학독본』은 ‘근대적 국민’을 양성하려는 취지로 간행된 근대적 기획물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전통적인 교육이 어떻게 근대를 받아들이고 변경하면서 근대교육으로 나갔는가를 살피는 좋은 계기를 제공한다. 근대 교과서의 탄생에는 근대적 요소의 수용과 모방이 중요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재래의 문화와 교재의 변용(變容)이라는 흐름이 놓여 있다는 것, 근대 교과서란 단순한 서구의 모방과 수용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 교육을 근대적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변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라는 게 이 글의 요지이다.


This is a study on ‘Sohak Dokbon’(Elementary reader-a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s) published in Nov. 1985. My interest in this study came from the fact that it was focused on pre modern values even though the country was turning into a modern society at the time of its publishing. While most text books at the time including ‘Kook Min Sohak Dokbon’, the first modern textbook, and ‘Sinjeong Simsang Sohak’ were about promoting mod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encouraging to learn from western societies, only ‘Sohak Dokbon’ was focused on Confucian values. In this sens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is book helps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it is similar to Confucian scriptures as it contains Confucian ideas. Studies also say that it doesn’t seem to fit well with the time. However, my opinion is that ‘Sohak Dokbon’ was not outdated at that time. Instead, it was a modern textbook written by the enlightenment party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 As the country started using Korean mixed with Chinese at that time, the book aimed to educate those in power, who focused only on Chinese classics, about the challenges they needed to deal with. The point is that the purpose of the book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books written before. For example, the word ‘Dokbon’, which means the reader, was a newly coined word at that time. The book also was written to help with practical learning and educate about peaceful ruling, citing the teaching of the country’s sages. Moreover,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learning and uses Korean mixed with Chinese, which not only meets the expectations of the gentry but also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is book was written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modern society. In short, the book was written to grow children into ‘a modern citizen’ so that they can adapt to changes of the time. In this sense, it helps us know how traditional education turned into a modern one. In fact, modern textbooks were able to be created thanks to not only the modernization but also the changes of the country’s traditional cultures and textbooks. My point of this study is that creating modern textbooks required not only accepting and imitating the model of western countries but also adjusting our traditional education to the changes of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