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신부’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일월산 황씨 부인당 설화’의 대립구조를 분석한 후, 그 속에 함축된 의미와 문학적 특징이 후대의 문학작품 속에 수용? 변용되어 새로운 텍스트로 재창조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황씨부인당 설화는 신혼 첫날밤 남편의 출분으로 가부장제의 희생양이 된 여성의 이야기를 한 맺힘 / 한 풀림의 구조로 보여준다. 설화의 이야기는 외부의 도움으로 한을 풀게 되는 원한의 서사구조를 취한다. 서사의 흐름을 따라 드러나는 심층구조는 명령(일부종사, 예의 수호) → non명령(위임) → 금지(신랑에 대한 보복, 직접적인 해원) → non금지(금지의 위반) 사이의 의미론적 유동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심층구조는 전통사회의 가부장제 질서에 균열을 내는 여성주체의 욕망이 잠재화하는 양상을 드러낸다. 서정주의 「신부」는 황씨부인당 설화의 비극적인 정황을 희극적인 상황으로 바꾸어 구전 설화의 ‘전환(轉換)’을 이루어낸다. 설화의 대립구조는 인물의 행위 구조, 인물 자질의 대립 구조와 일치하며 다시 신방을 중심으로 한 신랑 / 신부의 공간적 자질로 분석된다. 대립적인 공간 지향의 공존은 텍스트를 역동적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또한 신부의 정념은 긴 시간으로 응축되어 ‘매운재’, 즉 내면으로 타들어가는 불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신부의 몸은 대립적 체계를 무화시키는 신화적 경계 공간으로 의미 작용하여 시 텍스트를 신화적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이제하의 『풍경의 내부』는 「신부」의 젠더 구조를 뒤바꾸어 놓은 작품으로「신부」의 여성주의적 패러디를 보여준다. 이제하는 신랑 / 신부, 남성 / 여성 사이에 내재하는 섹슈얼리티의 정치학과 이를 성찰하는 주인공의 내면을 정치하게 보여준다. 여성 인물 서례는 설화의 신부 및 시 텍스트의 신부와 중첩되면서 그 축적된 여성성을 공유, 증폭시켜 나간다. 여성 인물은 주인공의 의식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남성 주인공은 여성 인물과 헤어지거나 여성의 출분 이후에 ‘초록 재와 다홍 재로’ 내려앉으면서도 여성 인물의 긍정적 가치들을 내면에 비축한 채 창조적인 행위의 주체로 변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tale ‘The Shrine of Ms. Hwang on Mount Ilwol’ and the aspect which re-creates new following texts which have acceptance and change the implicational meaning and literacy feature. ‘The Shrine of Ms. Hwang on Mount Ilwol’ shows her deep grief and relief of it as a new-wed bride, a victim of patriarchal system, is abandoned by the groom at the night of her wedding. The story gets narrative structure of grudge which is freed by help of exterior facts. The deep structure exposed by the narrative also shows unsettled semantics about the order (monogamy only of women, stick to harsh tradition) → non order (trust to the groom) → prohibition (revenge to the groom, solving ill will for oneself) → prohibition (breaking the prohibition). This deep structure reveals the potential of female characters’ desire which disturbs the order patriarchal system. The poem <Bride>written by Suh jungju is based on ‘The Shrine of Ms. Hwang on Mount Ilwol’, which switches the tragedy of the tale into burlesque irony. Being spatial disposition, the conflict of this tale can give the characters to behave and to agree with their natural disposition. The main characters that stay opposite space make the text dynamic. The bride’s obsession, which is condensed for a long time, appears ‘hot ash’, an image of burning flame into her inside. The body of the bride transmutes the text of poem into mythical space ridding the conflict system to work into mythical boundary space. <Inside of Scenery> written by Lee Jeaha is a parody which changes the gender role of ‘The Shrine of Ms. Hwang on Mount Ilwol’. Lee Jeaha directly shows sexuality between male and female and main character that introspects his inside. Overlapping with the bride in the tale and the poem, Shurea, the female character, holds and extends accumulate femininity. She can make change the consciousness of the male character. Female characters can make the consciousness change of main character. As the result, although the male character breaks up the female character and is scattered as ‘green ash and red ash’ after the main character ran away, he creates that performance getting the female character’s positive values in his in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