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이하 HCCP) 4차(2011)년도 근로자용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을 유형화하고,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참여 유무와,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참여 유무와,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거의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둘째, 정규직 여부도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참여 유무와,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거의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를 하며, 직무능력 향상효과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연령에 있어서, 현장학습프로그램의 참여율은 나이가 적을수록 높았으나, 개별학습프로그램 참여 후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대해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전반적으로 인식변인들은 참여율의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개별, 통합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제한적인 영향만 보여주었다.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참여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정확하게 찾아내고, 해당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인적자원 개발 프로그램의 참여율과 직무능력 향상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ivers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rograms and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in HRD programs. To accomplish this purpose,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for this study.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ly, sex is a common variable that affects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in HRD program. Secondly, regularity of job affects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in HRD program commonly. Thirdly, younger people more participated in field learning program than older people. Fourthly, perception variables affect improvement of participation rate, but they affect restrictively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By means of finding variables affecting participation in HRD programs and removing the pertinent cause based on above diverse result, participation rate in HRD programs and improvement effect of job ability could be rai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