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최근 파리 정상회의를 통해 발족된 유럽연합의 유럽, 지중해, 중동의 지역협력 정책인 바르셀로나 프로세스: 지중해를 위한 연합(UPM)의 출현 배경과 향후 전망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살펴본 UPM의 의미는 정책이 시행되고 13년 동안 25개 회원국에서 39개로 발전하여, 문화·민족·종교·문명의 다양한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는 기존의 지중해 지역정책인 바르셀로나 프로세스: 유럽-지중해 파트너쉽을 확대·강화·계승했다는 점과, 니콜라 사르코지가 강력하게 제안한 배경에는 프랑스 정치인으로서 프랑스 국내의 사회문화적 동인이 결정적이었다는 점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UPM의 구축 배경을 바라보는 프랑스 사회의 시선은 세계화를 향한 프랑스의 글로벌 지역협력체라는 본래의 목적과 아울러,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3국(알제리, 모로코, 튀니지)과의 정서적 대화 재개와 프랑스내 정치상황에서의 복잡 미묘한 아랍정서를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었음을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사실들로, 프랑스의 지중해 지역 정책과 아랍 정책은 분리될 수 없는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지역 통합의 일반적인 전망인 경제 규모의 차이로 인한 오늘날 남-북간 협력체제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과 중국,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 독일과 중앙·동 유럽국가와의 조합에 비추어 프랑스와 지중해를 조명해보는 과정에서 프랑스의 전망을 부분적으로 살펴볼 수는 있었으나, 경제성장 측면에서의 상세한 예측분석으로까지 발전할 수는 없었다. 차후 UPM 역내 협력채널의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참여국들과의 협력관계가 더욱 활성화되면 긍정적인 전망과 아울러 분석연구를 시도해 보는 일은 미래의 과제로 남긴다. 결과적으로 희망을 상징하는 흰색과 지중해 바다를 구현한 파란색으로 이분화된 UPM의 상징 깃발을 바라보며, 2008년 11월로 예정되어 있는 회원국간 외무부장관 회담에서 의결될 본부 도시의 결정을 앞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Cette étude est consacrée à la perspective de la coopération partenaire parmi Europe, Méditerranée, Moyen-Orient, autrement dit Processus de Barcelone: Union pour la Méditerranée(UPM) en France. Nous présentons deux politiques pour la méditerranée que nous avons identifiées avec la diplomatie française a mis en route. Elles se résument au processus de Barcelone: Partenariat de Euro-méditerranée adopté lors de la conférence euro-méditerranéenne(27-28 novembre 1995); processus de Barcelone: Union pour la Méditerranée déclaré lors du sommet de Paris pour la Méditerranée(13 juillet 2008). Enfin, nous présentons et discutons nos perspectives très attendues sur l'Union pour la Méditerranée en apportant plusieurs réflexions concernant les entourages socioculturelle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la politique pour les pays de Maghreb.


Cette étude est consacrée à la perspective de la coopération partenaire parmi Europe, Méditerranée, Moyen-Orient, autrement dit Processus de Barcelone: Union pour la Méditerranée(UPM) en France. Nous présentons deux politiques pour la méditerranée que nous avons identifiées avec la diplomatie française a mis en route. Elles se résument au processus de Barcelone: Partenariat de Euro-méditerranée adopté lors de la conférence euro-méditerranéenne(27-28 novembre 1995); processus de Barcelone: Union pour la Méditerranée déclaré lors du sommet de Paris pour la Méditerranée(13 juillet 2008). Enfin, nous présentons et discutons nos perspectives très attendues sur l'Union pour la Méditerranée en apportant plusieurs réflexions concernant les entourages socioculturelle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la politique pour les pays de Maghr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