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산 강서구 대저지역의 일본인 이주농촌은 근대기 일본의 인구과잉, 식량부족 문제 해결과 대륙으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려는 제국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이주해 온 일본인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은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통한 정책적 비호 아래 대규모 토지를 경영하는 대지주형 농업을 경영하였다. 대저지역은 비옥한 농토임에도 불구하고 고질적 문제였던 홍수에 의한 자연재해를 입고 있었다. 이에 대저수리조합과 초량토목출장소에 의한 토목공사, 치수공사 및 수로개설공사로 인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주농촌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들 사업들은 이주농촌 형성과 건축적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당시 형성된 이주농촌 가옥은 많은 변형과 함께 관리상태 불량으로 훼손 상태가 심각한 수준이며 현재 원형확인이 가능한 41채만이 현존하고 있다. 이 가옥들을 통해 근대기 일식주택이 한국인의 생활습관이나 공간부족 등의 문제로 인하여 많은 개·보수 과정을 거치며 변형되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Japanese migrant farming village in the Daejeo region in Gangseo-gu, Busan, was formed by the Japanese, who emigrated from Japan to Korea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overpopulation and food shortages in Japan and as part of the imperialist policy of extending their influence to the continent. Under the protection of policy through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they managed farming lands on a large scale. Although Daejeo was a fertile farmland, the residents in the area faced natural disasters, mainly floods. Accordingly, a more stable migrant farming village was formed through civil engineering works, embankment works and construction of watercourse by Daejeo Irrigation Association and Choryang Civil Engineering Company, and such proj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migrant farming village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houses of the village that were built at the time are now severely deformed and damaged due to poor management and there remain only 41 houses, whose form can be identified. From these houses, one can confirm that the modern Japanese houses are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numerous renovations and repairs, which were conducted because of the lifestyle of Koreans or lack of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