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적․문화적 층위에서 화교는 한국사회가 이문화의 집단을 접촉하였던 대표적 종족(민족) 집단이라고 하겠으며, 이들의 이주역사와 개인의 생애사는 한국사회의 변동, 즉 식민과 냉전의 역사와 정확히 중첩되어 있다. 한국화교의 특징은 우선 그들의 출신 지역이 대부분 산동성 지역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글은 부산에 거주하였던 화교들의 자료를 근거로 화교 사회의 단상을 파악해 보았으며, 또한 중국과 한국의 잇따른 내전 속에서 “전쟁”을 피해 온 화교들의 가족관계를 살펴보았다. 전쟁 피난민으로서 살기 시작한 부산의 화교 가족들은 단독 이주와 가족집단 이주에 따라 친척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고, 그것은 냉전체제의 영향을 반영, 이분화된 경향을 읽을 수 있었다. 역설적이게도 중국과 한국에서 모두 “전쟁”을 벌인 일본이 냉전체제 하에서 화교 1세와 2세들에게는 헤어진 가족이 소통할 수 있는 틈새적 공간으로 모색되었고, 혹은 생계기반을 도모할 또 하나의 공간으로서 활용되고 있었다. 1세들의 고향가족 상봉 이후 끊어질듯 한 가족/친척의 관계는 다시 복원되고 있으면서도 이들을 둘러싼 사회적 변화로 말미암아 그들은 또 다시 낯선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The Chinese minority (hwagyo) makes up a major historical ethnic group in Korea, and their history of migration and individual life histories are deeply intertwined with changes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ose relating to the colonial and the Cold War history. Most of Korean hwagyo population originate from Sandong region of China. This article looks at the genealogy of Korea's hwagyo society focusing on that based in Busan,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family and kinship relations among people who moved to the city during the war. These families began their lives in Busan as war refugees, and their family relations show two distinct patterns. These bifurcating patterns relate to different histories of migration - whether people migrated as individuals or in family groups - and the difference is an effect of the Cold War. Having waged a war in both China and Korea, Japan, within the Cold War system, provided a marginal space of communication among separated families or that for finding livelihood for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the Korean hwagyo. Whereas their previously separated family and kinship relations are being recovered, today, the Busan hwagyo are facing new challenges and unfamiliar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