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鄕約은 조선시대 재지사족 주도로 운영되던 대표적인 자치 규범이었기에, 조선을 식민지화한 일제는 원활한 지방 통치를 도모하기 위해 향약을 주목하였고, 이를 보조하려는 日本人 官學者들의 향약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20∼30년대 일본인 관학자 3인의 향약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들 연구는 근대적인 방법으로 향약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가치가 있으나, 식민주의적 역사인식이 반영된 연구이기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먼저 조선총독부 관료이자 식민지 조선의 지방관이었던 도미나가 분이치[富永文一]는 민풍개선과 사회구제에 향약이 활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咸鏡北道 知事를 지내면서 직접 향약을 제정하기도 했다. 마츠다 코[松田甲]는 1930년 조선총독부의 지방자치제도 개정에 발맞추어 향약을 연구하였다. 그는 향약을 현대적 의미로 계승한 것이 昨今의 지방자치제도라고 평가하면서, 지역민의 협조를 강조하였다. 다카하시 도루[高橘亨]의 향약 연구는 1931년 조선총독부의 중견청년 및 중견인물 양성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이들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협조하기 위해 양성되었는데, 다카하시는 향약을 제정했던 栗谷이 과거 조선의 가장 이상적인 중견인물이라고 하면서, 그의 행적과 향약을 소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일본인 관학자들은 전근대 이상적인 교화정책으로 향약을 주목하였고, 그것의 현대적 활용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그 현대적 모색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보조하는 것이었다.


Hyang-yak was the representative autonomous norms that were administered by provincial noble family of Joseon era. When Japan colonized Joseon, it focused on Hyang-yak for the ease of controlling regions and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assisted it and conducted studies on Hyang-yak. This paper reviewed Hyang-yak studies of three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in the 1920s∼1930s. Their studies are historically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y dealt with Hyang-yak in a modern way bu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search period that reflects colonial historical awareness. An example of such was Dominaga Bunichi, an official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local governmental official of colonized Joseon, thought that Hyang-yak could be used for improving folkways and social relief. So while he was a governor of North Hamkyung Province, he enacted Hyang-yak himself. Matsuda Ko studied Hyang-yak along with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30. He viewed that the contemporary local autonomy system came from Hyang-yak translated in a modern way and emphasized the cooperation of local people. Takahashi Doru’s study on Hyang-yak is related to th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train leading youth and important personnel. They were educated to cooperate with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and among them, Takahashi referred to Yulgok Yi as the most ideal leading youth of past Joseon and introduced his activities and Hyang-yak. Like this,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focused on Hyang-yak as an ideal reform policy from premodern days and searched for ways to use it in a modern way. But the modern studies were to assist Japanese colonial 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