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3세기 중엽 유불지식인으로 활동한 鄭晏이 조성한 불교경판의 원천정보를 새롭게 정리하는 한편, 그 역사․문화적 성격도 분석하였다. 그 선행작업으로 1920년대 이후 최근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된 기존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먼저, 기존연구의 오류를 바로잡아 정안 조성의 경판에 새겨진 다양한 원천정보를 새로 정리하였다. 정안의 조성경판 가운데 『妙法蓮華經』 등 현존 5종에 새겨진 경판의 외형적 형태, 구성체계, 형태서지학 정보, 간행기록, 刻手, 標題 등과 같은 다양한 원천정보를 새로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妙法蓮華經』․『金剛般若波羅蜜經』의 경판 가운데 는 후대 보각경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정 개별경판에는 사주쌍변의 광곽 안쪽에 開法藏眞言부호와 경전이름으로 구성된 개별경전 및 三經合部의 標題가 각각 새겨진 사실을 확인하였다. 정리된 원천정보를 바탕으로, 정안 조성경판의 역사․문화적 성격도 진단하였다. 첫째, 해당 원천정보는 향후 고려왕조실록의 복원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정안은 고종 23년과 고종 31∼33년 『불설아미타경』을 포함하여 6종의 경판을 조성하였다. 셋째, 해당 경판의 조성 때 정안이 활동한 지역적 공간도 진단하였다. 『妙法蓮華經』은 고종 23년 河東지역에서, 나머지 경판은 고종 31∼33년 南海에서 각각 활동할 때 조성하였다. 『묘법연화경』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판은 海藏分司로 표기된 대장분사도감에서 활동한 전문인력을 활용한 듯하다. 넷째, 정안은 민족․국왕의 안녕, 몽골 침략군의 격퇴, 朝野의 평안 등을 기원하고, 修禪社․天台宗계열 등 당대 여러 불교계와의 우호적 관계를 모색할 목적으로 이들 경판을 조성한 듯하다. 다섯째, ‘金剛行願弥陁合部’라는 표제 등에서 정안은 『金剛般若波羅蜜經』․『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佛說阿彌陀經』의 3종의 불교경전을 함께 묶는 三經部部의 구성체계를 창조적으로 기획하였을 개연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정안이 조성한 경판의 標題 부분에는 開法藏眞言부호가 각각 새겨져 있다는 사실에서 개별경전에 대한 독송의식의 신성성과 장엄성이 담겨져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Haein-Temple’s Buddhism—Sutra—woodblock that Jeong—An was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in the process, the existed studies have been critically reviewed, and the original information has been newly organized. First, this paper has confirmed the Buddhism—Sutra—woodblock that Jeong—An was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the Buddhism—Sutra—woodblock has been confirmed six kinds : Saddharma-pundari-ka-Sutra(妙法蓮華經), Commentary on the Vajrasamādhi-Sutra(金剛三昧經論), Bodhisattva Samantabhadra's Vows of the Avatamsaka-Sutra(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金剛般若波羅蜜經), Bulseol-Yesusiwangsaengchil-Sutra(佛說預修十王生七經), Sukhavati -Vyuha-Sutra(佛說阿彌陀經). these woodblocks were created in the 1236 & 1244∼1245 year when he was in the Hadong(河東) & the Namhae(南海). among these woodblocks, the Sukhavati-Vyuha-Sutra has been not identified, the rest kinds are existing. Next, this paper has been generally arrang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 &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imprint(刊記) & the engravers(刻手) & the title of the Sutra-woodblocks that have been existing. among the information, the Sutra-woodblock is noted the case that the title has been consisted of the Gaebeopjang- Mantra-mark(開法藏眞言符號) & the Sutra-name. and the title of the Samgyeonghapbu(三經合部) is noted the case. its the original information can be used as the documentary heritage that can restored the history & culture of the mid-13th century. Finally, this paper has been newly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its Sutra-woodblocks. first,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Jeong—An's reality-consciousness that he has tri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 the real contradiction. second,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creative attempt of Jeong—An. the attempt has new created the Samgyeonghapbu that the Buddhism—Sutra of three kinds have been tied as one book. the three kinds included the Bodhisattva Samantabhadra's Vows of the Avatamsaka-Sutra,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the Sukhavati-Vyuha-Sutra. finally,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case that Jeong—An has reinforced the sanctity & the solemnity of the Buddhism—Sutra in the marking of the Gaebeopjang-Mantra-mark.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the Haein-Temple(海印寺), Jeong—An(鄭晏), the Saddharma-pundari-ka-Sutra(妙法蓮華經), the the Commentary on the Vajrasamādhi-Sutra (金剛三昧經論), the Bodhisattva Samantabhadra's Vows of the Avatamsaka-Sutra (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金剛般若波羅蜜經), the Bulseol-Yesusiwangsaengchil-Sutra (佛說預修十王生七經), the Sukhavati-Vyuha-Sutra (佛說阿彌陀經), Gaebeopjang-Mantra-mark (開法藏眞言符號), Samgyeonghapbu(三經合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