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순사상과 불교철학은, 인간을 주인공으로 하는 세계의 건립에 대한 강한 소망을 공통적으로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점점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대순사상과 불교철학은 인간을 ‘술어적 인격(述語的 人格)의 자리’가 아니라 ‘주어적 인격(主語的 人格)의 자리’에 놓고자 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우주와 세계의, 손님이 아니라 주인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인인 인간들에 의해 전개되는 무한하게 열려있는 삶’에 두 사유체계의 공통적인 목적이 있다고 강변하더라도 이것은 결코 지나친 표현이 되지는 않는다. 대순사상과 불교철학은 우주의 모든 것이, 하나의 그물처럼, 유기체적 전체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 점에서 동일한 견처를 가지고 있다. 그런 입장에서, 두 사유체계는, 개체가 아니라 세계 전체를 고려의 대상으로 여기고, 윤리적 공동체의 범위를 세계 전체로 확장하면서, 적극적인 더불어 살기를 요청하고 모색한다. 비록 ‘상생(相生)의 윤리’ 와 ‘자비의 구현[同體大悲]’이라는 표면상 서로 다른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표현 속에 내재되어 있는 그 함의의 동질성을 파악하기는 결코 어렵지 않다. 대순사상과 불교철학은 모두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표방하며, 선언적(宣言的)이고 당위적(當爲的)이기는 하지만, 인간을 우주 최고의 위치에까지 끌어 올리면서, 인간성을 그 갈 수 있는 한도까지 해방시키며, 미래세계의 주인공이 될 자격을 지닌, 주체적인 인간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이상사회인 후천세계인 지상천국은, 인간과 신명이 조화되고, 신과 인간이 서로 상보하며, 지구촌 전체에 정치적 안정과 만민 평등이 이루어지고, 모두가 경제적으로 안정되는 풍요의 세계이다. 더 나아가서 사회적 정의가 실현되고, 문화적․종교적 갈등이 해소되는 열린사회이며, 인간들이 우주자연과 서로 공존하며 사는 법을 알아서 환경문제가 더 이상 우리의 지상과제가 되지 않으며, 인간의 윤리와 도덕이 최고 수준으로 정립되는 세계이다. 원시불교적 입장에서 본다면 불교의 이상을 세속사회에 실현하는 붓다의 대행자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다. 전륜성왕이 다스리는 사회의 모습은 자유, 평등, 평화, 정의, 풍요, 도덕, 질서, 법치, 민주, 복지 등의 단어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불교적 이상사회는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사회적으로도 정의로운 사회임과 동시에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도덕적인 성숙과 정신적 자유를 통한 인격적인 완성을 이룬 사회라고 볼 수 있다.


Both Daesoon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have strong aspirations for establishing a world comprised of human-beings. In other words, Daesoon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put human-beings in the place of ‘subject character(主語的 人格)’ instead of ‘predicate character(述語的 人格).’ This is because a human is the master rather than a guest of the universe and the world. In this regard, it is safe to say that both Daesoon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have a common goal of reaching ‘an infinitely open life managed by a human-being, the master.’ Daesoon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also share the idea that everything in the universe is an organistic world that is closely connected, like a network. In this aspect, the two philosophies consider the whole world rather than the individual, and seek ways for people to live together actively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community to the world. Even if ‘the morality of living together (相生)’ and ‘the realization of mercy(同體大悲)’ are completely different languages on the surface,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omogeneity inherent in such expressions. Daesoon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show endless reliability towards all humans and are declarative and reasonable, but both herald human beings as eligible to become the main characters of the future world and lead to the birth of independent human beings while inducing them to the highest position in the universe by liberating humans from the limitations they find. ‘Heaven on Earth’ as stated in Daesoon philosophy refers to an ideal society where humans and God harmonize, and God and humans complement each other. Also, the world will achieve political stability and equality, realizing an economically prosperous world. Furthermore, social justice will be realized and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s resolved. As humans acknowledge there is a way to live together in a universal nature, the environmental issue no longer becomes the top priority for human beings and a world where the morals of human beings reach the highest level will be established. From the original Buddhist perspective, King Jeonrhyun, the proxy of Buddha, realizes the ideal of Buddhism in the mundane world. The world controlled by King Jeonrhyun can be described as having liberty, equality, peace, justice, prosperity, morality, order, legality, democracy, welfare, etc. Therefore, the ideal Buddhist world is materially prosperous, physically healthy and socially just, as well as a world where moral maturity and mental freedom are ach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