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인천 투표율에서 관찰되는 특징을 찾아보고 그 요인을 규명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1987년 민주화 이후 실시된 모든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로 연구의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또한 이 연구는 보다 통계적인 분석을 가하기 위하여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통계청, 인천시가 수집한 투표율 등 각종 집합자료를 이용한다. 연구결과 1987년 이후 실시된 모든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에서 인천의 투표율이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저조한 편에 속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 요인으로 인천에는 상주인구 비율이 절대값상 100% 에서 가장 먼 편에 속한다는 사실이 놓여 있다. 또한 인천 내의 구별로 보았을 때 인천에서는 서울에서 가까울수록 투표율이 낮았다. 그리고 인천의 구별 인구이동률과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도 인천 유권자의 투표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This essay ascertains the characteristics of voter turnout and explains the factors determining voter participation in the Greater Incheon. This study includes all the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held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In doing so, this essay employs various aggregate data collected by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first, that voter turnout has always recorded the lower rates in Incheon than any other major cities and provinces. Regionalism is the weakest and the proportion of the permanent residence is the lowest in Incheon. Secondly, voter turnout tends to be lower, as the district is closer to Seoul. Population mobility is higher in the Incheon area that is closer to Seoul and those who reside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even more in the Incheon area near Seoul than their counterp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