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 조성되기 시작한 국내의 창작공간에 대한 인식이 개별 예술가를 위한 폐쇄된 사적 공간에서 지역 사회를 위한 개방된 공적 영역으로, 물리적 입주 시설이 아닌 지역 사회의 문화생태 환경 구축을 위한 거점으로 인식을 달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작공간의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 속에서 2000년대 말 2세대 창작공간을 표방하며 잇달아 출범한 창작공간들이 심포지엄과 지역연계 프로젝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탐문하고 있는 지역 사회 내에서의 창작공간의 제 조건을 인천아트플랫폼의 운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국내 창작공간의 정의와 개념의 확장을 고찰하고, 창작공간을 지역 사회 내의 ‘문화공간’이 아니라 ‘문화적 공간’으로 가능성을 실천하고 또 모색하고 있는 국내 사례를 금천예술공장과 경기창작센터를 중심으로 살핀 후, 인천아트플랫폼의 조성 배경과 운영 현황 분석을 통해 예술과 지역 사회의 관계 생성을 위한 닫힌 공간이 아닌 열린시간으로써 창작공간의 제 조건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Perception on the domestic Art space which has been created since 1990 is changing from closed personal space for individual artist to opened spatial area for local community with the space being recognized as base for community's cultural art ecosystem instead of physical move-in facility. With the changing perception on the Art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rasp roles of the Art space in the community which has been investigated by those established claiming to advocate the 2nd generation Art space at the end of 2000 centered on Incheon art platform. The study investigates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domestic Art space and tries to develop it as a cultural space. Also the present study explorers instances of domestic Art space to review roles of the Art space as an opened time instead of closed space in order to establish a rel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review on background and management of Incheon art platform.